소련에 반기 든 1956년 김일성처럼… 장기전 대비하는 김정은

소련에 반기 든 1956년 김일성처럼… 장기전 대비하는 김정은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9-04-21 20:58
수정 2019-04-22 0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일성, 당시 동유럽 방문 중 급거 귀국

반대파 제거하고 자주·자립 행보 나서
北 “오늘의 정세가 그 나날 돌아보게 해”
하노이 결렬 후 조부처럼 자력갱생 강조
이미지 확대
김정은, 신창양어장 현지지도
김정은, 신창양어장 현지지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6일 평안북도에 있는 신창양어장을 현지지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TV가 17일 공개한 김 위원장의 모습. 2019.4.17 연합뉴스
북한 매체가 2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자력갱생’ 전략과 김일성 주석의 1956년 ‘자주·자립’ 행보를 동일시하면서 북한이 장기전을 준비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노동신문은 21일 ‘위대한 당을 따라 총진격 앞으로’라는 글에서 “강도적인 요구를 내세우는 적대세력의 책동으로 조국과 인민 앞에 시련과 난관이 끊임없이 조성되고 있는 오늘의 정세는 1956년의 그 나날을 돌이켜 보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만 리 장정에 올랐던 우리 수령님(김일성)께서 무거운 마음을 안고 조국에 돌아오시었던 그 준엄했던 1956년”이라고 덧붙였다.

하노이 회담에서 빈손으로 귀국한 김 위원장의 현 상황을 동유럽 사회주의국가 방문 일정 중 급거 귀국했던 김 주석에게 빗댄 것이다.

당시 김 주석은 ‘연안파’와 ‘소련파’가 ‘중공업 우선 노선’을 수정하라는 소련 지도부에 순응해 자신에게 반기를 들었다는 소식을 듣자 일정 중단 후 귀국했고 8월 전원회의를 열고 반대파를 제거했다. 당시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공산당 총비서가 ‘중공업 우선 노선’을 주창하는 북한에 경공업 발전을 요구했는데 김 주석이 듣지 않자 반대파를 지원한 것이다. 이후 북한은 소련에 대한 사대주의를 배격하고 자주성을 강조했다.

‘8월 종파사건’으로 지칭하며 김 주석이 가장 어려웠던 시기로 꼽는 이때가 북미 협상이 결렬되고 대북제재가 지속하는 현재의 정세와 같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 첫 문장에서도 “온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실현하는 데서 우리 앞에 나서는 기본투쟁과업은 사회주의 강국 건설 위업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했다. 사회주의 국가건설사상은 김 주석의 자주·자립 행보를 담은 것으로 정치에서의 자주, 경제에서의 자립, 국방에서의 자위 등이 그 내용이다.

특히 김 위원장은 대북제재를 넘어설 수단으로 ‘자력갱생’을 강조하고 있다. 김 주석도 당시 ‘자력갱생의 혁명정신’을 부각하며 천리마운동을 탄생시켰고 북한은 이때 국민소득이 2.1배 증가하는 등 고도성장을 이뤘다는 입장이다. 할아버지와 같은 길을 가면서 경제적 발전과 함께 내부 결집을 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현 국면은 김 주석 때처럼 외교적 고립의 시기이며 국면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보는 것 같다”며 “김 위원장이 이미 밝힌 대로 올해까지 3차 북미 정상회담을 기다려 보겠지만 아니라면 장기전으로 가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9-04-2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