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 중 3명은 오는 9일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평양올림픽’으로 폄하하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더 많았다. 60% 이상의 국민은 통일보다 평화공존에 초점을 맞춘 대북정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은 6일 여론조사기관 KSOI에 의뢰해 지난 2일부터 이틀간 성인남녀 1천14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평창 동계 올림픽이 남북관계에 기여하지 않을 것이란 응답자가 절반을 넘는 53.3%에 달했다. 기여할 것이란 답변은 44.4%였다.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에 대해서도 전체의 50.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긍정 평가는 43.9%로 그메 못 미쳤다. 부정 평가의 이유로는 우리 선수 중 일부가 출전하지 못해서(43.3%), 단일팀 자체 반대(28.4%), 선수단과 소통 부족(22.6%) 등을 들었다.
다만 이번 올림픽을 ‘평양 올림픽’이라고 비판하는 보수 야권의 주장에 대해선 응답자의 74.4%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북한에 대한 미국의 선제타격 주장에 대해서도 70.1%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남북이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통일을 해야 한다는 문항에 동의한다는 답변은 71.7%에 달했지만, 정부의 대북정책 목표는 ‘통일보다 평화공존과 경제공동체를 해야 한다’는 항목에 63.9%가 쏠려 대조를 보였다.
박근혜 정부와 비교해 남북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9.7%는 호전됐다고 답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전체의 58.4%가 만족한다고 했고, 불만족 응답은 37.0%였다.
6·15 남북공동선언과 10·4 남북공동선언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방안에 대해선 찬성과 반대가 각각 42.8%, 38.2%로 엇비슷했다.
개성공단과 같은 남북간 합의 사항이 정부에 의해 일방 중단됐을 경우 피해를 정부가 보상하는 법안을 제정하는 문제에 대해선 68.4%가 찬성했다.
연구원 측은 “많은 국민이 통일에 공감하고 있지만,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 대해서는 실용적이고 평화적 접근을 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2030세대의 대북 및 통일의식이 다른 세대와 다를 것이란 예상과 달리 실용주의적이고 평화지향적 태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5일 오후 강원도 강릉 관동하키센터에서 열린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훈련에서 선수들이 스마트폰을 보며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평창 동계 올림픽이 남북관계에 기여하지 않을 것이란 응답자가 절반을 넘는 53.3%에 달했다. 기여할 것이란 답변은 44.4%였다.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에 대해서도 전체의 50.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긍정 평가는 43.9%로 그메 못 미쳤다. 부정 평가의 이유로는 우리 선수 중 일부가 출전하지 못해서(43.3%), 단일팀 자체 반대(28.4%), 선수단과 소통 부족(22.6%) 등을 들었다.
다만 이번 올림픽을 ‘평양 올림픽’이라고 비판하는 보수 야권의 주장에 대해선 응답자의 74.4%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북한에 대한 미국의 선제타격 주장에 대해서도 70.1%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남북이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통일을 해야 한다는 문항에 동의한다는 답변은 71.7%에 달했지만, 정부의 대북정책 목표는 ‘통일보다 평화공존과 경제공동체를 해야 한다’는 항목에 63.9%가 쏠려 대조를 보였다.
박근혜 정부와 비교해 남북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9.7%는 호전됐다고 답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전체의 58.4%가 만족한다고 했고, 불만족 응답은 37.0%였다.
6·15 남북공동선언과 10·4 남북공동선언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방안에 대해선 찬성과 반대가 각각 42.8%, 38.2%로 엇비슷했다.
개성공단과 같은 남북간 합의 사항이 정부에 의해 일방 중단됐을 경우 피해를 정부가 보상하는 법안을 제정하는 문제에 대해선 68.4%가 찬성했다.
연구원 측은 “많은 국민이 통일에 공감하고 있지만,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 대해서는 실용적이고 평화적 접근을 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2030세대의 대북 및 통일의식이 다른 세대와 다를 것이란 예상과 달리 실용주의적이고 평화지향적 태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