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 교수의 1980’s 청춘의 재발견] <7>굿바이 하숙집, 굿바이 내 청춘

[김동률 교수의 1980’s 청춘의 재발견] <7>굿바이 하숙집, 굿바이 내 청춘

입력 2016-01-22 17:36
수정 2016-01-22 19: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솥밥 먹으며 끈끈했던 우리, 문득 그리운

하숙생이 뭔지를 몰랐다. 유년 시절 나는 ‘하숙생=나그네길’로, 둘이 같은 의미인 줄 알았다. 가수 최희준이 부른 ‘하숙생’ 때문이다. ‘인생은 나그네길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구름이 흘러가듯 떠돌다 가는 길에/정일랑 두지 말자 미련일랑 두지 말자’로 시작되는 바로 그 노래다. 그 어린 시절, 나는 하숙생이 뭐 대단한 벼슬자리라도 되는 줄 알고 있었다. 최희준 노래만 들리면 ‘목소리가 솜사탕 같다, 인상 좋다, 구수하다’ 등등 동네 어른들이 저마다 칭찬 일색으로 한 말씀씩 하셨기 때문이다. 무색무취한 목소리에다 찐빵같이 펑퍼짐한 특색 없는 얼굴을 달콤한 솜사탕과 비교하다니…, 도대체 말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의 부모님까지도 찬양 일변도였다. 그뿐만 아니다. 당시 유행하는 대중가요를 따라 부를라치면 눈살을 찌푸리던 아버지도 하숙생을 부를 때만큼은 눈을 지그시 감고 은근히 만족해하시는 것이다.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나의 유년 시절 풍경이었다. 그리고 그것들이 가수 최희준이 그 시절 보기 드문 대학을 졸업한 이른바 학사 가수, 그것도 이 땅의 모든 부모들이 선망해 마지않는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는 것에 기인하고 있었다는 것은 철들고서야 알았다.

1970~80년대 대학가 주변 하숙집은 그저 고향 떠난 대학생들이 한데 모여 먹고 자는 공간이 아니었다. 운동권 선배에게 이끌려 몰래 마르크스를 읽으며 학생운동의 근력을 키우던 학습공간이었고, 어제처럼 때늦어 김치 하나 놓고 맨밥 먹을까 싶어 번쩍 눈을 떠야 했던 생존공간이었으며, 사랑과 우정, 내일에 대한 물음표가 범벅이 돼 라면, 소주병과 나뒹굴던 낭만의 공간이었다. 80년대 신촌 하숙집 담벽에 붙은 하숙생 모집 벽보. 여대생은 사절한다는 문구가 이채롭다.  서울신문 DB
1970~80년대 대학가 주변 하숙집은 그저 고향 떠난 대학생들이 한데 모여 먹고 자는 공간이 아니었다. 운동권 선배에게 이끌려 몰래 마르크스를 읽으며 학생운동의 근력을 키우던 학습공간이었고, 어제처럼 때늦어 김치 하나 놓고 맨밥 먹을까 싶어 번쩍 눈을 떠야 했던 생존공간이었으며, 사랑과 우정, 내일에 대한 물음표가 범벅이 돼 라면, 소주병과 나뒹굴던 낭만의 공간이었다. 80년대 신촌 하숙집 담벽에 붙은 하숙생 모집 벽보. 여대생은 사절한다는 문구가 이채롭다.

서울신문 DB
하숙생, 이 세 글자가 이촌향도, 우골탑의 지방 출신 대학생들에게는 하나의 통과의례쯤 되는 물기 어린 말이다. 요즘 세대에겐 생경하겠지만 하숙이란 말은 이 땅의 기성세대에게는 묘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빤쓰’나 ‘난닝구’를 바꿔 입기는 보통이고, 고향에서 토종꿀이라도 올라오면 하룻밤 사이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기도 했다. 하숙생끼리 둘러앉은 밥상 앞에서 소, 돼지고기를 ‘육군’으로, 계란과 닭고기를 ‘공군’으로, 생선을 ‘해군’으로 불렀던 풍경을 요즘 세대는 알기나 할까. 모두가 곤고했던 시절, ‘육군’ 반찬을 요구하다 하숙집 아줌마에게 쫓겨날까 봐 손발이 닳도록 빌었다던 하숙 친구들의 에피소드는 이제는 빛바랜 전설이 된 지 오래다.

하숙집의 아침은 재래시장의 골목처럼 시끄럽고 혼란스러웠다. 식사 시간에 조금 늦으면 맨밥을 물에 말아 깍두기로 때워야 한다. 늦잠을 잔 아침 식탁에 계란 프라이나 소시지 부침 등은 사라지고 없다. 그래서 ‘일단 먹고 다시 잔다’는 원칙은 하숙생들에게는 불문율이다. 국은 대개 콩나물국이고 반찬으로 두부조림, 마늘쫑이 곧잘 등장한다. 닭볶음이나 제육볶음은 누구 생일이 되어야 오르는 최고의 찬이다. 그래도 밥은 무한정 공급되었다. 방구석에 놓여 있는 전기밥통을 열고 원하는 만큼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쿠쿠도 쿠첸도, 일제 코끼리표(조지루시) 전기밥솥도 없던 시절, 하숙집의 밥은 시간이 지나면 누렇게 변색되고 냄새가 났다. 그러나 스무살 한창 나이, 대개 두 공기는 기본으로 하고 조금 당긴다 싶으면 세 공기도 마다 않던 혈기방장한 젊은 시절이었다.

이미지 확대
1970~80년대 대학가 주변 하숙집은 그저 고향 떠난 대학생들이 한데 모여 먹고 자는 공간이 아니었다. 운동권 선배에게 이끌려 몰래 마르크스를 읽으며 학생운동의 근력을 키우던 학습공간이었고, 어제처럼 때늦어 김치 하나 놓고 맨밥 먹을까 싶어 번쩍 눈을 떠야 했던 생존공간이었으며, 사랑과 우정, 내일에 대한 물음표가 범벅이 돼 라면, 소주병과 나뒹굴던 낭만의 공간이었다. 80년대 신촌 하숙촌 골목길이다. 뿔테 안경에 ‘대학생 가방’을 든 사진 속 주인공이 ‘난 대학생이다’라고 말하는 듯하다.   서울신문 DB
1970~80년대 대학가 주변 하숙집은 그저 고향 떠난 대학생들이 한데 모여 먹고 자는 공간이 아니었다. 운동권 선배에게 이끌려 몰래 마르크스를 읽으며 학생운동의 근력을 키우던 학습공간이었고, 어제처럼 때늦어 김치 하나 놓고 맨밥 먹을까 싶어 번쩍 눈을 떠야 했던 생존공간이었으며, 사랑과 우정, 내일에 대한 물음표가 범벅이 돼 라면, 소주병과 나뒹굴던 낭만의 공간이었다. 80년대 신촌 하숙촌 골목길이다. 뿔테 안경에 ‘대학생 가방’을 든 사진 속 주인공이 ‘난 대학생이다’라고 말하는 듯하다.

서울신문 DB
이미지 확대
1970~80년대 대학가 주변 하숙집은 그저 고향 떠난 대학생들이 한데 모여 먹고 자는 공간이 아니었다. 운동권 선배에게 이끌려 몰래 마르크스를 읽으며 학생운동의 근력을 키우던 학습공간이었고, 어제처럼 때늦어 김치 하나 놓고 맨밥 먹을까 싶어 번쩍 눈을 떠야 했던 생존공간이었으며, 사랑과 우정, 내일에 대한 물음표가 범벅이 돼 라면, 소주병과 나뒹굴던 낭만의 공간이었다. 2013년 방송된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나온 하숙집 풍경. 그득한 밥상만큼이나 하숙집 인심은 대개 넉넉했다.  서울신문 DB
1970~80년대 대학가 주변 하숙집은 그저 고향 떠난 대학생들이 한데 모여 먹고 자는 공간이 아니었다. 운동권 선배에게 이끌려 몰래 마르크스를 읽으며 학생운동의 근력을 키우던 학습공간이었고, 어제처럼 때늦어 김치 하나 놓고 맨밥 먹을까 싶어 번쩍 눈을 떠야 했던 생존공간이었으며, 사랑과 우정, 내일에 대한 물음표가 범벅이 돼 라면, 소주병과 나뒹굴던 낭만의 공간이었다. 2013년 방송된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나온 하숙집 풍경. 그득한 밥상만큼이나 하숙집 인심은 대개 넉넉했다.

서울신문 DB
하숙은 갖은 사연도 많았다. 연전에 인기를 끌었던 ‘응답하라 1994’도 예가 된다. ‘하숙집’을 배경으로 지방에서 올라온 학생들의 서울 생활과 순정을 다뤘다. 지금의 세대에게는 상상도 가지 않겠지만 드라마는 그 옛날 하숙집의 풍경을 비교적 잘 그려냈다. 하숙은 대개 학교 근처에서 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슬리퍼를 질질 끌고 김치 냄새 풀풀 풍기며 이쑤시개를 꽂고 도서관에 나타나는 풍경이 낯설지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원칙에도 예외는 있다. 신촌 이화여대 일대 하숙집은 단연 성황이었다. 이 일대 하숙생에게는 공통점이 있었다. 어찌어찌해서 같은 집에 하숙하는 이대생을 한번 꼬셔 보려는 음흉한 목적이 그것이다. 그러나 붕어빵에는 붕어가 없듯이 이대 인근 대흥동 하숙집에서 이대생들 찾기가 쉽지 않았다. 여학생 전용 하숙집에 있거나 아니면 다 큰 처녀를 하숙집에 두는 게 걱정됐던 고향의 부모들이 여기저기 수소문 끝에 먼 친척집에라도 맡겨 두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시절 하숙집에는 사연도 많고 해프닝도 많았다. 덜컥 임신시키는 바람에 하숙집 딸과 결혼한 S대 법대 고시 준비생의 전설은 하숙집에 전해 내려오는 단골 얘깃거리다.

세월은 사람과 함께 간다. 이제 지금의 시대에 그 시절과 같은 하숙집을 찾기는 어렵다. 완연히 사양길이다. 편리하고 혼자만의 공간이 보장되는 원룸이나 오피스텔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하숙은 더이상 그 시절의 낭만을 사유케 하는 그 옛날의 공간이 아니다. 개인주의시대를 반영하는 나만의 공간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젊은 날 추억의 장소는 항상 하숙집이고 복고 드라마의 배경은 늘 하숙집 풍경이다. 뿐만 아니다. 하숙집은 그 시절 남학생들에게는 욕망의 보금자리였다. 야한 상상을 하며 여자친구를 방으로 초대하거나 잠깐 동안의 아찔한 포옹을 꿈꾸는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신촌구락부라는 모임이 있다. 인터넷에 쳐 보면 ‘신촌 밤무대를 주름잡는 건달들의 모임’이라는 그럴듯한 설명이 나온다. 언뜻 들으면 무슨 조폭 단체 같지만 실상은 그게 아니다. 80년대 초입 대학 시절, 신촌 언덕배기 같은 하숙방에서 나뒹굴던 나의 하숙집 친구들의 모임이다. 하기야 친구 부친상에 ‘신촌구락부’ 이름으로 조화를 보냈더니 그동안 괴롭히던 직장 상사가 친구가 ‘조직’의 일원인 줄 알고 놀라 고분고분해졌다는 실제 상황도 있었다. 그렇지만 이름만 거창한, 하숙친구 모임일 뿐이다. 그러나 하숙집 친구는 끈끈하다. 이른바 ‘한솥밥 먹은 사이’라는 말이 그래서 나오는지도 모르겠다.

또 한 해가 떠밀려 가고 새해가 밝았다. 신촌구락부란 이름 아래 하숙집 친구들이 새해 저녁으로 오랜만에 모였다.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풍요로운 음식을 마주하며 기성세대가 되어 다시 모였다.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구조조정이란 이름 아래 언제 잘릴지 모르는 고민을 토로하고, 쉬이 익숙해지지 않는 스마트폰 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얘기하고,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그러나 그 많은 화제 중에 모두가 공감하는 것은 그 옛날 하숙집에 관한 추억들이다. 지금보다 많이 불편하고 촌스러웠지만, 지금은 느낄 수 없는 아날로그적인 감성들이 하숙을 경험한 이 땅의 중년들에게는 달콤 쌉싸름한 추억이 되고 있는 것이다.

기실 하숙은 갓 스물의 청춘들에게 완전히 독립된 성인이라는 착각을 준다.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친구들 덕분에 사투리 흉내 내기는 즐거웠고 선배들과 뒹굴거리며 포르노 테이프를 보며 성교육을 받았다. 화끈한 화면에 목이 타면 야쿠르트로 열기를 식히던 시절, “마찌노 아까리가/또떼모 끼레이네 요코하마….” ‘블루 나이트 요코하마’는 하숙집 단합대회 회식 때 단골 레퍼토리였다.

하숙집에서 뒹굴던 젊음들은 이제 시대의 끝자락에 밀려 나 있다. 아직은 모든 것이 사라진 것은 아니겠지만 흘러가는 세월을 잡을 수는 없다. 그 시절이 그리운 건, 그 하숙집 골목이 그리운 건, 단지 지금보다 젊은 내가 보고 싶어서가 아니다. 거기에 우리들의 금빛으로 빛나는 청춘이 있었기 때문이다. 연년세세화상사(年年歲歲花常似) 세세년년인부동(歲歲年年人不同). 해마다 피는 꽃은 해마다 같건만은 사람은 해마다 만날 수 없음이여. 그 시절을 생각하면 오늘 문득 비감해진다. 굿바이 하숙집! 굿바이 내 청춘!

서강대 MOT 대학원 교수 yule21@empas.com
2016-01-23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