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첫 시집 펴낸 마윤지 시인
청계천을 끼고 있는 서울 중구 방산시장 인근에서 만난 마윤지 시인은 “시인은 느끼지 않아도 될 고통을 너무 많이 느끼는 사람”이라면서도 “아플 수 있는 게 오히려 기쁨이며 남들이 모르는 기쁨을 안다는 건 행복한 일”이라고 말했다.
마윤지 시인 제공
마윤지 시인 제공
첫 시집 ‘개구리극장’(사진·민음사)을 엮은 마윤지(31) 시인을 11일 서울 청계천 인근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와 대화를 나눈 뒤 회사로 돌아오는 길에 이 단어들이 오래도록 머릿속을 맴돌았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말들. 시인의 시는 여기서 시작한다. 그는 “시인이 지워지는 시를 쓰겠다”고도 했다. 무슨 말일까.
“시를 너무 좋아해서 시인이 되지 못할 것 같았다. 너무 좋아해서 범접할 수 없다고 느낄 때 있잖은가. 어차피 저 사람과 연인이 될 수 없다면 고백도 하지 않겠다는 태도랄까.”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시를 전공했음에도 마윤지는 시인이라는 존재가 멀게만 느껴졌다고 했다. 2022년 ‘계간 파란’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을 때도 그는 ‘두려움’이라는 단어를 소감 맨 앞에 배치했다. 이제 손에 잡히는 시집까지 나왔으니 참 여러 생각이 들었을 터다. 그는 시집 출간을 “나만의 사건이 누구나의 사건으로 되는 일”이라고 정의했다.
“처음 가 보는 곳을 금방 사적인 장소로 만든다. 마치 어렸을 때 와본 것처럼 친숙하게 느낀다. 공간에 대한 몰입이 빠르달까. 그 지역의 맨얼굴을 금방 알아채는 편이다.”
“눈앞에 있는 아이를 통해서 유년으로 ‘시간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단순한 회상과는 다르다. 유년은 영원과도 이어진다. 이미 과거가 됐음에도 죽을 때까지 생각하지 않나. 왜 그럴까. 거기에는 세상을 처음 알아갈 때의 버거움과 끔찍한 사랑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지나갔는데도 영원처럼 느껴지는 이유다.”
스무 살부터 성당에서 주일학교 선생님을 했다. 아이들을 돌보면서 경험한 신비는 그대로 시가 되기도 한다. 그는 사람 관찰하기를 무척 좋아한다고 했다. 오죽하면 영화관 가서 영화는 안 보고 영화에 빠진 다른 사람의 멍한 표정을 보는 걸 즐길 정도다. 다른 사람의 표정을 보면서 그가 무엇을 원하는지, 언제 환한 얼굴을 하는지 발견할 때 큰 기쁨을 느낀다고 한다. 시집의 제목이기도 한 ‘개구리극장’은 이런 생각에서 쓴 시다. 다른 사람도 영화관의 어둠 속에서 천진난만하게 울고 웃는 자기의 얼굴을 들여다본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면서.
“읽었을 때 시인이 궁금해지는 시가 있다. 하지만 나는 ‘읽는 사람’이 남는 시를 쓰고 싶다. 누군가 나의 시를 읽고 시인을 기억하는 게 아니라 ‘내 일상에도 이런 신비가 있었지’ 하면서 자기의 삶을 환기하는, 그런 시 말이다.”
2024-04-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