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뮤지컬 연출가 전동민
뮤지컬 연출가 전동민이 28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세종라운지 내에 걸려 있는 자신의 뮤지컬 ‘더 트라이브’ 포스터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그는 “뮤지컬의 언어는 대사가 아니라 음악과 춤”이라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신인치고는 퍽 당돌한 언사다. 인터뷰 내내 어찌나 여유가 넘치던지 베테랑 감독과 대화하고 있다는 착각마저 들었다. 뮤지컬 연출가 전동민(34) 이야기다. 다음달 19일 막을 올리는 뮤지컬 ‘더 트라이브’ 공연을 앞두고 28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그를 만났다. 그는 배배 꼬지 않고 꼭 필요한 말로 자신의 뮤지컬 철학을 이야기했다. 그가 사용한 모든 문장은 결국 이런 말로 요약된다. “뮤지컬은 ‘쇼’다.”
“프랑스 파리에 있는 케브랑리 박물관에 간 적이 있다. 원시시대 예술이 가득한 곳이다. 어두침침하니 금방이라도 원시의 부족이 튀어나올 것 같더라. 이곳이 배경인 작품은 무조건 하나 쓰자고 마음먹었다. 부족의 음악은 누구에게나 생소할 테니까. 춤도 노래도 신선할 것 같았다.”
‘더 트라이브’는 흥겨운 음악과 춤이 가득한 뮤지컬이다. 주인공 조셉과 클로이는 원치 않은 소개팅으로 만난다. 그러다 실수로 고대 유물을 깨뜨리는데 이후 그들이 거짓말을 할 때마다 고대 부족이 나타나 춤추고 노래하며 이른바 ‘깽판’을 놓는다. 파리를 배경으로 하지만 ‘국가성’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게 전동민의 설명이다. 어차피 우리 모두의 이야기니까.
“작품은 ‘나다움’에 대한 이야기다. 내가 나다울 수 있으려면 타인의 나다움도 인정해야겠지. 결국은 다양성으로 귀결한다. 다양한 인종이 모인 파리를 배경으로 한 이유다. 세계인에게 각기 문화적 차이는 있을 터다. 하지만 만국 젊은이의 공통된 고민이 하나 있다. 바로 ‘나는 누구인가’다. 자아 성찰은 세계의 모든 청년을 묶을 수 있는 키워드다.”
뮤지컬은 뭐니 뭐니 해도 볼거리가 풍성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단순히 재밌는 이야기를 넘어 춤, 음악, 조명, 무대 디자인 등 다양한 미적 요소가 한데 결합한 ‘종합예술’이라는 것이다. 그는 “반드시 뮤지컬이어야만 하는 소재를 좋아한다”고도 했다.
성균관대에서 영상학과 연기예술학을 전공한 전동민은 2020년 대학로에서 뮤지컬 ‘샤이닝’을 통해 연출가로 데뷔한 신인이다. 세종문화회관이라는 큰 무대에 올라가는 작품은 처음인데도 인터뷰에서 그리 긴장하는 기색은 보이지 않았다. 본인 말로 “치열한 예술계”에서 멘털을 지키기 위해 매일 요가를 한다는데 그런 영향일까.
“뮤지컬이라는 예술에서만큼은 상품성과 작품성이 분리돼 있지 않다고 본다. 중요한 것은 재미다. 한국은 브로드웨이나 웨스트엔드처럼 뮤지컬의 역사가 길지 않지만 그래도 콘텐츠가 발전하는 속도는 상당히 빠르다. 예전에는 유명한 배우만으로도 티켓이 팔리던 때가 있었지만 이제는 아니다. 작품이 좋아야 한다. 과도기인 것은 분명하지만 경계를 조금 지나쳐 온 것 같다.”
2024-03-2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