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은 한의학적 진단에 무의미 보이지 않는 기운의 배치 읽어내야
10년 전, 한의학 바람을 몰고 온 드라마 ‘허준’.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의 하나는 스승 유의태가 자신의 육신을 허준에게 내어주는 장면이다. 장엄하게 연출된 이 장면을 보고 시청자들은 해부를 경험한 허준이 더 뛰어난 명의가 될 거라 믿었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서양의학에서의 해부는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 진단 체계가 주로 보이는 것에 의존해 왔기 때문이다. 해부는 의학의 상징이자 의사의 특권이 되었다. 사람들에게 해부는 큰 강이었고, 여기서부터 의학은 전문화된 영역으로 인식되었다. 일반인은 건널 수 없는 강이기에, 해부는 보다 전문적이고 진보적인 의학의 표상이 되었다.
허준의 해부 장면은 바로 이러한 암묵적인 전제가 깔려 있는 것. 그래서 시청자들은 해부학을 공부한 허준이 다른 의사와 차별화된 의학을 구사할 거라고 믿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장면은 잘못된 설정이다. 스승이 자신의 몸을 희생할 만큼 해부할 기회가 없었을 거라는 오해도 그렇거니와, 해부학으로 허준의 의술을 한 차원 높이려 하는 작가의 의도도 엉터리이기 때문이다. 해부학은 한의학적 진단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한의학에서의 진단은 보이지 않는 기운의 배치를 읽어내는 것. 그러니 죽어 있는 몸을 본들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동의보감 첫 장에 실린 한 장의 그림은 그러한 한의학의 인식론적 배치를 잘 보여준다. 몸 안의 장부를 엉성하게 표현한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라는 이 그림은 실상 유형의 장부만을 묘사한 것이 아니다. 정기가 다니는 미려관·녹로관· 옥침관 그리고 정기의 주요 통로인 척추, 이것들은 진단의 핵심인 무형의 기운을 배치해 놓은 것이다. 당연히 유형의 장기를 묘사한 해부도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
한의학에서 명료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장부와 장부의 관계, 몸과 마음, 사람과 우주의 관계를 읽어내야 한다. 그러려면 보이는 것만으로는 어림없다. 보이지 않는 기운을 봐야 한다. 신형장부도는 그런 시야로 해독돼야 한다.
서울신문·수유+너머 공동기획
2010-11-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