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주석 선임기자의 서울택리지] <14> 한강(상)

[노주석 선임기자의 서울택리지] <14> 한강(상)

입력 2013-10-11 00:00
수정 2013-10-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릉도원이냐고요? 200여년전 한강입니다

>>한강 왜, 어떻게 달라졌나

옛 한강은 오늘의 한강과 어떻게 다르며, 무엇이 달라졌을까. 한강은 한성 백제가 위례(풍납·몽촌토성)에 터 잡은 이후 2000년 동안 한민족의 젖줄이었다. 조선의 500년 도읍지 한양(한성부)의 식수원이자 하수구였으며 명승지였다. 한성부를 도읍지로 정하게 한 장풍득수(藏風得水)의 큰 축이었으며 어느 한 곳 빼어나지 않은 곳이 없는 풍광을 뽐냈다.

이미지 확대
겸재 정선이 1741년에 그린 ‘압구정’(狎鷗亭) 권신 한명회가 노후를 보내려고 지었다. 압구정이란 갈매기와 사귀는 정자라는 뜻이다. 지금의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11동 뒤편쯤이다. 겸재가 펴낸 ‘경교명승첩’에 실린 여러 장의 한강 그림 중 한 장이다. 잠실 쪽에서 바라본 것으로 한강이 서남쪽을 향해 꺾여 흐르는 모퉁이 높은 언덕에 담장까지 갖춘 꽤 큰 규모의 정자가 서 있다. 모래톱과 강 한가운데 거룻배가 한가롭다. 강 건너편은 두모포로 오늘의 옥수동이며 양쪽을 잇는 동호대교가 놓였다. 두모포 뒤편으로 송림이 우거져 솟은 곳이 남산이다. 보림출판사간 진경산수화3 아름다운 옛서울에서
겸재 정선이 1741년에 그린 ‘압구정’(狎鷗亭) 권신 한명회가 노후를 보내려고 지었다. 압구정이란 갈매기와 사귀는 정자라는 뜻이다. 지금의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11동 뒤편쯤이다. 겸재가 펴낸 ‘경교명승첩’에 실린 여러 장의 한강 그림 중 한 장이다. 잠실 쪽에서 바라본 것으로 한강이 서남쪽을 향해 꺾여 흐르는 모퉁이 높은 언덕에 담장까지 갖춘 꽤 큰 규모의 정자가 서 있다. 모래톱과 강 한가운데 거룻배가 한가롭다. 강 건너편은 두모포로 오늘의 옥수동이며 양쪽을 잇는 동호대교가 놓였다. 두모포 뒤편으로 송림이 우거져 솟은 곳이 남산이다.
보림출판사간 진경산수화3 아름다운 옛서울에서
조선시대 한강의 이름은 경강(京江)이었다. 서울의 중심부인 삼전도(송파)에서 양화진(합정) 구간을 경강이라고 했다. 그중 남산 기슭을 흐르는 강을 한수(漢水)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한강이 됐다. 한(큰) 가람(강)이라는 우리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설득력 있다.

그런 한강이 불과 100년 만에 천지개벽을 했다. 근대기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인식과 쓰임새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물난리를 막아 보겠다는 치수(治水)에 대한 집착과 인구의 광적인 서울 집중에 따른 택지 제공, 교통로의 필요성이 개발을 불렀다. 게다가 휴전선이라는 인공 장애물이 한강의 서해 출구를 가로막으면서 안보적 측면도 겹쳤다. 아라뱃길을 새로 뚫은 까닭이다. 한강의 변화에는 어느 정도 불가피한 시대적 요청이 있었다.

가장 큰 변화는 섬(河中島)이 사라지면서 모래톱과 습지도 더불어 자취를 감춘 것이다. 강이 마치 활주로 같다. 유럽이나 중국, 일본의 중세도시를 흐르는 크고 작은 자연하천과 비교해 보면 대조적이다.

19세기 초만 해도 매년 1만 척을 헤아리는 황포 돛배가 사람과 물자를 싣고 광나루(광진), 삼밭나루(삼전도), 뚝섬나루, 한강나루, 동작나루, 마포나루, 노들나루(노량진), 양화나루를 오갔지만 흥청거리던 뱃노래는 사라졌다. 그 자리에는 29개의 다리가 덩그러니 놓였고 나루는 다리 이름으로 남았다. 골재 채취용으로 폭파했으나 20년 만에 되살아난 밤섬(율도)을 제외하고 강폭이 최대 900m에 이르는 넓디넓은 강이 텅 비었다. 여울과 소(沼)마저 사라져 생명력과 자정력을 잃었다. 강변에 60㎞에 이르는 콘크리트 호안이 일사불란하게 펼쳐진 곳이 오늘의 한강이다.

한강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한강이 삼국사기에 처음 등장하는 2000년 전 백제의 하남 위례성 시대와 삼국의 한강 유역 쟁탈 시기에서 출발한다. 또 1392년 조선 건국, 1925년 을축년 대홍수 이전과 이후도 의미 있다. 서울 숭례문 입구까지 물에 잠기게 한 을축년 대홍수는 땅밑에 숨었던 암사동 신석기 유적지를 드러나게 했지만, 제방 구축용 골재로 쓰려고 선유봉(선유도)을 폭파하는 빌미가 됐다. 결정적인 변화는 1967년 제1차 한강개발과 1982년 제2차 한강종합개발이 몰고 왔다.

1차 한강개발은 여의도를 육속화하면서 서울의 경계를 사대문 안에서 남산 성곽을 넘어 한강변까지 확장했다. 여의도개발은 한강개발의 출발점이자 강남개발의 전초기지였다. 아파트공화국을 알리는 나팔소리였다. 여의도 제방을 쌓으려고 밤섬과 선유봉을 폭파한 원죄가 있지만 한강 상류에 팔당댐을 만들어 한강 수량을 조절했고, 한강 제방을 완성해 서울 시민들을 물난리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했다. 여의도, 동부이촌동과 반포지구에 대단위 아파트 택지를 제공했으며 서울은 이때부터 사대문 중심 일핵도시에서 다핵도시로 나아갔다.

이미지 확대
1925년 여름 을축 대홍수 때 물에 잠긴 용산 일대와 피신하는 사람들. 대홍수로 용산, 뚝섬, 송파 등 한강변은 물론 청계천까지 서울의 절반 이상이 물에 잠겼고 한강에 제방을 쌓는 계기가 됐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1925년 여름 을축 대홍수 때 물에 잠긴 용산 일대와 피신하는 사람들. 대홍수로 용산, 뚝섬, 송파 등 한강변은 물론 청계천까지 서울의 절반 이상이 물에 잠겼고 한강에 제방을 쌓는 계기가 됐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1956년 뚝섬유원지. 한강은 여름이면 강수욕과 뱃놀이를 즐기던 휴식처였다. 그러나 보트장 옆에 ‘W.C.’라고 적힌 화장실에서 알 수 있듯 이후 한강은 몸을 담글 수 없는 병든 강으로 변했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1956년 뚝섬유원지. 한강은 여름이면 강수욕과 뱃놀이를 즐기던 휴식처였다. 그러나 보트장 옆에 ‘W.C.’라고 적힌 화장실에서 알 수 있듯 이후 한강은 몸을 담글 수 없는 병든 강으로 변했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한강 제방은 워커힐호텔~김포공항을 잇는 강변북로를 부산물로 남겼다. 동호대교 아래 저자도는 압구정 아파트 단지를 만드는 데 온몸을 바치고 사라졌다.

제2차 한강개발 이후 오늘의 모습이 갖춰졌다. 홍수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기 맨살을 드러낸 채 가늘게 흐르던 한강이 365일 물로 가득 찬 사실상의 호수가 된 것이다. 두 개의 수중보가 한강을 수심 2.5m의 인공호수로 만들었다. 잠실대교 아래 잠실수중보와 김포대교 아래 신곡수중보가 물을 가두고 있다. 상전(桑田) 잠실섬을 강남 쪽으로 인위적으로 붙이면서 한강의 본류를 바꿔 놓았다. 이때 삼전도 나루 앞을 흐르던 한강 물길은 석촌호수가 됐다.

강남 쪽 한강 제방에는 올림픽대로가 개설됐다. 2007년 한강 복원을 외쳤지만 바뀐 물길과 사라진 섬, 습지와 백사장 그리고 파괴된 봉우리와 누정은 되찾을 수 없었다.

>>한강의 옛 모습은 어땠나

옛 사람들은 한강을 강이 아니라 호수로 여겼다. 동호(東湖), 서호(西湖), 남호(南湖) 등 3개의 호수로 나눠 부르면서 풍류를 즐겼다. 강물이 하중도를 중심으로 잔잔하게 굽이치는 장면이 그들의 눈에는 호수처럼 보였으리라.

이미지 확대
1956년 이촌동과 노량진 부근에서 열린 한강 빙상대회. 겨울이면 한강은 스케이트 타는 사람들로 붐볐다. 덕수궁이나 창경궁 연못에서 스케이트와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고 아차산과 남산에 스키장이 개설됐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1956년 이촌동과 노량진 부근에서 열린 한강 빙상대회. 겨울이면 한강은 스케이트 타는 사람들로 붐볐다. 덕수궁이나 창경궁 연못에서 스케이트와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고 아차산과 남산에 스키장이 개설됐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이미지 확대
1958년 한남동 풍경. 조선시대 시인 묵객과 중국 사신들이 풍류를 즐기던 천일정과 제천정이 있던 강변 일대에 외인 주택이 들어섰다. 건너편 백사장이 오늘의 강남구 신사동이다. 제3한강교로 불린 한남대교가 1969년 양쪽에 놓였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1958년 한남동 풍경. 조선시대 시인 묵객과 중국 사신들이 풍류를 즐기던 천일정과 제천정이 있던 강변 일대에 외인 주택이 들어섰다. 건너편 백사장이 오늘의 강남구 신사동이다. 제3한강교로 불린 한남대교가 1969년 양쪽에 놓였다.
서울학연구소 간 서울 20세기·서울특별시사편찬위 제공
동호에는 저자도와 독서당, 입석포(선돌개), 두모포(두뭇개), 제천정과 천일정(한남동의 정자), 압구정 같은 명승지가 즐비했다. 동호대교라는 지명이 동호에서 유래했다. 서호는 용산으로부터 마포와 선유봉, 양화진 잠두봉(절두산)을 아우르는 지역을 일렀는데 서강(西江)이라는 지명도 널리 쓰였다.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신도팔경도(新都八景圖)에 ‘서강조박’(西江漕泊)이 포함될 정도였다. 남호는 용산강의 다른 이름이다. 여의도와 밤섬을 품고 멀리 관악산과 청계산을 조망할 수 있는 동작진과 노량진 구간이다.

옛 한강은 산수화와 지도를 통해 상상할 도리밖에 없다. 그림이라고 가벼이 여겨선 안 된다. 사진 뺨치게 정밀한 진경(眞景) 산수화여서다. 실경(實景) 산수화라고도 한다. 물길이 뱀처럼 구불구불 굽이치는 곳에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하중도에서 금빛으로 반짝이는 모래와 바람에 나부끼는 수양버들, 갈대가 지천인 그런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또 개화기 이후 선교사들이 남긴 낡은 사진과 개발기의 각종 사진을 통해 20세기 이후 한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강수욕을 즐기던 백사장, 나룻배와 나루터, 얼음 캐는 채빙(採?)과 스케이트 타는 사람들의 모습이 정겹다. 이 같은 한강의 풍광이 지금도 남아 있다면 청계천이나 광화문 광장에 인파가 붐비겠는가.

중국이나 일본 사신들에게 한강 유람은 필수 코스였다. 대개 동호변 제천정에서 시작해 저자도 일대의 풍경을 감상하고 서호쪽 양화진으로 내려오면서 음주가무를 즐겼다.

제천정은 왕실 소유의 정자로 서울에서 경치 좋은 열 곳(京都十詠) 중 한 곳으로 꼽혔다. 달 구경의 으뜸 명소였다. 사신들은 다녀간 흔적을 글이나 그림으로 남겼다. 한강승경 그림을 요청해 선물로 받아 가기도 했다. 한강은 조선시대 시인 묵객들의 문화공간이자 교류의 장이었다. 18세기 진경 산수화의 대표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은 ‘경교명승첩’과 ‘양천팔경첩’에 한강 풍광 수십 점을 남겼다.

저자도는 잃어버린 섬이다. 닥나무가 많다고 해서 이 이름이 붙여졌으며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 삼각주를 형성하고 있었다. 경관을 파악할 수 있는 그림이나 사진이 전해지지 않는 것이 아쉽다. 저자도 서북단의 독서당을 그린 ‘독서당계회도’와 저자도 남단의 압구정을 그린 ‘압구정도’, 저자도 북단의 살곶이다리를 그린 ‘진헌마정색도’를 통해 윤곽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다행스럽게도 1922년에 인쇄된 실측지도 ‘경성도’에 등고선과 초지 및 모래벌판이 표시돼 있다.

시인들은 저자도를 한강 유람의 백미로 여겼다. “저자도 작은 섬이 완연히 물 가운데 물굽이 언덕을 두르고 있으니 흰 모래 갈대 숲 그 경치가 매우 좋다”(15세기 정인지가 살곶이다리 인근 낙천정에서 내려다본 저자도의 풍경), “봄꽃이 만발하여 온 언덕과 산을 뒤엎었네”(15세기 강희맹의 저자도도(楮子島圖)의 발문), “봉은사는 저자도에서 서쪽으로 1리쯤에 있다”(16세기 심수경이 독서당에 머물던 중 봉은사를 다녀오면서 남긴 글)는 글들이 남아 있다.

조선 개국 초 저자도는 왕들의 휴식처였다. 태종이 상왕이자 형님인 정종과 낙천정에서 술잔을 나눴고, 세종이 대마도 정벌을 떠나는 이종무를 격려하고 환송한 장소였다. 고종 등 왕이 집전하는 기우제 장소 중 한 곳 이었다. 왕실 재산으로 조선의 마지막 부마(철종의 사위) 박영효 소유였다. 동서 2000m, 남북 885m 길이에 넓이가 118만㎡에 이르는 모래벌판이었다.

‘신선이 노닐던’ 선유도는 섬이 아니라 산이었다. 선유봉은 지금의 마포구 합정동 절두산(잠두봉)을 마주 보는 높이 40m의 작은 봉우리였다. 두 산은 나란히 서 있었다. 선유봉은 홍수가 나면 봉우리만 물 위에 떠 있었다. ‘예조낭관계획도’ 등 잠두봉을 그린 16세기 후반의 실경 산수화 10여 점이 빼어난 경관을 보여 준다. 정선은 ‘선유봉’ ‘양화환도’ ‘소악후월’ ‘금성평사’ 등 4점의 그림을 통해 선유봉을 묘사했다.

T S 엘리엇은 “역사란 언제나 동떨어진 원인에서 기묘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설파했다. 옛 선비들은 한강을 호수로 미화해 풍류를 즐겼으나 어느덧 세월이 흘러 한강은 사실상 인공호수로 변했다. 역사의 아이러니라 하지 않을 수 없다.

joo@seoul.co.kr

2013-10-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