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성격 특성이 자기 통제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실하고 외향적인 사람이라도 불안, 우울, 과도한 걱정을 하는 신경증적 성향이 있다면 자기 통제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로체스터대 제공
미국 로체스터대 제공
1966년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자 월터 미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4살 아이들을 대상으로 미래의 더 큰 보상을 위해 당장의 유혹을 참을 수 있는지 측정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입니다. 이후 많은 연구로 초기 연구 결과는 뒤집혔지만,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마시멜로 실험이 수행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노르웨이 국방대, 오슬로 국립 공중보건 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개인의 성격과 자기 통제 능력이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혀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한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 8월 22일 자에 실렸습니다.
연구팀은 사관학교에 재학 중인 480명의 학생의 생활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적 성향이라는 빅5 성격 특성과 일반적, 억제적, 시작적 자기 통제라는 자기 통제 3요소 간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신경증적 성격은 불안, 우울, 과도한 걱정을 하는 성향을 말하고, 억제적 자기 통제는 외부의 유혹과 자극에 저항하는 능력, 시작적 자기 통제는 장기적 목표 달성을 위해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이전에도 비슷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자기 통제를 좁은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성격 특성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해 자기 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히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연구 결과, 신경증적 성향이 높은 사람은 전반적인 자기 통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변수를 통제한 뒤에도 똑같이 나타났습니다. 외향성과 성실성은 자기 통제 점수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면 개방성과 친화성이라는 성격적 특성은 자기 통제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다른 성격적 특성이 두드러지더라도 신경증적 성향의 정도 차이에 따라 자기 통제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외향적이고 성실한 사람이라도 신경증적 성향이 높을 경우 기대보다 자기 통제 점수가 낮다는 말입니다.
연구를 이끈 헤닝 방 오슬로대 교수(행동경제학)는 “이번 연구는 성격 특성과 자기 통제력 사이 관계가 매우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라며 “성격과 자기 통제 사이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자기 통제가 요구되는 역할에 적합한 개인을 배치하고, 자기 통제력을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