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품은 우리 동네] 마조단 표석 방치 왜?

[길을 품은 우리 동네] 마조단 표석 방치 왜?

입력 2012-06-13 00:00
수정 2012-06-1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양대 “말 조상에게 제사 지낸 곳” 성동구 “국토방위 기원한 터” 반박

마조(馬祖)단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그 터를 소유한 한양대와 담당 지자체인 성동구청의 해석이 달랐다. 그 와중에 마조단 위치를 알리는 표석은 방치되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한양대 안에 있는 마조단 터. 관리가 소홀하고 이 학교 학생들조차 마조단 유래를 잘 모르고 있다.
한양대 안에 있는 마조단 터. 관리가 소홀하고 이 학교 학생들조차 마조단 유래를 잘 모르고 있다.
한양대는 ‘말의 조상에게 제사 지내던 제단터’라고 표석 위에 새겨 넣으며 마조단의 의미를 축소했다. 반면, 성동구 관계자는 “마조단은 단순히 말의 조상한테 제사 지내던 곳이 아니다.”면서 “국토방위와 국력 신장을 기원하는 제단이었다.”고 말했다.

마조단 터의 위치에 대해서도 두 기관의 입장은 달랐다. 한양대는 중앙도서관 앞을 마조단터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최래옥 명예교수 등 성동구 측은 한양대 교육대학원과 한양대지하철역 사이로 파악하고 있다. 최 교수는 “고 이해성 전 총장과 한양대 박물관에서 일했던 고 김종태 전 교수의 생전 증언을 통해 한양대 확장과정에서 마조단 비석이 발견됐다는 사실과, 어디서 발견됐는지를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한양대의 이러한 역사의식은 이 학교 학생들의 마조단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마조단요? 처음 들어보는데요.” 12일 한양대 중앙도서관 앞 마조단터 표석 앞에서 만난 학생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13년째 대학을 다닌다는 박사과정 A(33)씨도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한양대 학생, 교직원 통틀어 90% 이상이 마조단을 모를 것”이라는 최 교수의 예측이 들어맞았다.

또 이곳의 의미를 기리는 기념식이 치러지기는커녕 쓰레기통들이 마조단터를 ‘호위’하고 있었다. 표석 주변은 흡연지역으로 지정돼 담배를 피우는 학생들이 에워쌌다. 이에 대해 한양대 대외협력팀 관계자는 “교내 건물은 관제팀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기념비까지 관리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2-06-1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