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 선임기자의 종교만화경 ] KCRP, 범세계적 종교기구 중 가장 모범적 종교 간 대화 활동

[김성호 선임기자의 종교만화경 ] KCRP, 범세계적 종교기구 중 가장 모범적 종교 간 대화 활동

김성호 기자
입력 2017-06-21 22:30
수정 2017-06-22 0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양한 종교인평화회의

아시아종교인평화회의(ACRP·Asian Conference on Religion and Peace)는 틱낫한 스님, 테레사 수녀 등 아시아 각국 종교 지도자들의 발의로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을 통한 세계 평화 기여를 목표로 창립됐다.
이미지 확대
1965년 서울 용당산호텔(현재 한강호텔)에서 ‘한국 제 종교의 공동과제 6대 종단 지도자 대화모임’을 마친 종교계 인사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 모임은 1986년 KCRP 창립으로 이어졌다.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제공
1965년 서울 용당산호텔(현재 한강호텔)에서 ‘한국 제 종교의 공동과제 6대 종단 지도자 대화모임’을 마친 종교계 인사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 모임은 1986년 KCRP 창립으로 이어졌다.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제공
1976년 싱가포르에서 창립총회가 열려 22개국 종교 대표단이 참석했다. 이 총회에서 평화에 대한 공동 관심을 확인하고, 인류가 직면한 문제에 공동 대응하자며 아시아권의 범종교 협력 기구로 발족한 것이다. 현재 22개 국가에 지부를 두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북한, 중국, 일본, 인도, 스리랑카, 태국, 필리핀 등 22개국이 정식 회원 국가로 가입해 있고 5개국이 옵서버로 참여한다.

한국 종교계는 ACRP 창립 때부터 옵서버를 파견하다가 1986년 서울 총회 유치를 계기로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창립을 이루게 됐다. 강원용 목사가 의장, 김성곤 더불어민주당 중앙위 의장이 사무총장에 피선, ACRP를 이끌기도 했다.

세계종교인평화회의(WCRP 혹은 RfP·Religions for Peace)는 전 세계 100여개 국가의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을 위한 범세계적 종교 기구다. 1970년 일본 교토에서 창립된 이래 다종교 간 대화·협력을 통해 화합과 상생에 주도적 역할을 해 왔다. 인간성 회복을 통한 개발과 발전, 지구 생태계와 환경보호, 갈등과 분쟁, 폭력 극복을 통한 세계 평화 같은 구체적인 사업들을 주도하고 있다.한국은 KCRP가 창립된 1986년 회원 국가로 가입, 가장 모범적인 종교 간 대화 활동을 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WCRP 총회 유치를 추진 중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06-2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