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심심풀이 땅콩인 줄만 알았나요?

[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심심풀이 땅콩인 줄만 알았나요?

입력 2014-12-19 00:00
수정 2014-12-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래 우주식품 농가 효자작물

땅콩은 미래의 우주식품으로 꼽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02년 우주식품 1호로 땅콩을 선정했다. 무중력 상태의 우주 공간에서 먹는 음식은 무균 상태의 건조 식품이 알맞은데 땅콩은 열량이 높고 영양도 만점이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남극, 북극 등 극지 탐험에서도 땅콩은 주요 식량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에서 땅콩은 20012년 기준으로 총 4072㏊의 농지에서 연간 1만t(226억원)가량 생산되고 있다. 1987년에는 땅콩 밭이 2만㏊가 넘었지만 1995년 수입 개방으로 재배 면적이 크게 줄었다. 땅콩 자급률도 1995년 67%에서 현재 27%로 급감했다.

하지만 땅콩 농가의 소득은 최근 20년간 4.7배로 늘어 식량작물 중 소득이 가장 높은 품목이 됐다. 밭 면적 10a당 땅콩 농가의 평균 소득은 1992년 33만 3000원에서 2012년 155만 5000원으로 늘었다. 최근은 지역 이름을 딴 땅콩 브랜드가 많다. 제주도의 ‘우도 땅콩’, 전남 신아의 ‘자은 땅콩’ 등이 대표적이다. 우도 땅콩은 바닷바람을 맞고 자라 맛이 더 고소하고 부드러우며 껍질째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 200여 농가(150㏊)에서 재배해 연평균 10억원의 소득을 올리는 효자 작물이다.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땅콩은 연간 3만 1000t 정도다. 전체 견과류 수입량은 8만 5000t(4000억원)가량으로 땅콩을 제외하면 아몬드가 국내 땅콩 생산량의 2배가 넘는 2만 5000t으로 가장 많다.

땅콩은 전 세계적으로 2546만㏊의 밭에서 연간 4530만t이 생산된다.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37%를 담당하는 1위 생산국이다. 수출량은 인도가 가장 많다. 인도 땅콩의 생산량(21%)은 중국에 이어 2위지만 수출량은 한 해에 75만t(9억 3000만 달러)으로 전 세계 수출량의 45%를 차지한다. 땅콩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네덜란드로 연간 30만t(4억 5000만 달러)이나 된다.

세계 각국의 땅콩 사랑은 요리에서 잘 나타난다. 인도네시아의 전통 꼬치 요리인 ‘사테’에는 땅콩 소스가 필수다. 네덜란드 사람들이 즐겨 먹는 감자튀김인 ‘파탓’도 땅콩과 마요네즈를 섞은 소스를 찍어 먹는다. 이탈리아의 파스타 소스 ‘페스토’에도 땅콩이 들어간다. 땅콩은 각종 과자의 원료로도 인기다. 전 세계의 과자에 들어가는 견과류 중 해즐넛, 아몬드에 이어 3위다. 빵에 발라 먹는 땅콩버터의 세계시장 규모는 15억 달러 규모로 매년 7.9%씩 성장하고 있다.
2014-12-1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