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발효 건강한 맛… 800여종 골라 먹는 맛
치즈의 역사는 기원전 70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유럽 남동부와 터키 아나톨리아, 지중해 동부에서 먹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기원전 3500년 경에 수메르인들은 이미 치즈 생산량을 점토판에 설형문자로 기록했다. 성서의 욥기와 사무엘 상하 등에서도 치즈가 언급되는 등 오래전부터 근동지역을 중심으로 일상 식품으로 식탁 위에 등장했다. 특히 중동 지역은 단백질을 구하기 쉽지 않은 곳이다. 대부분 사막이었던 탓에 수렵할 동물이 많지 않았고, 기온이 높아 음식은 순식간에 상하기 일쑤였다. 그들은 주로 자신들이 기르던 소의 우유로 단백질을 섭취했다. 우유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 치즈가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에담치즈
뇌샤텔치즈
페타치즈
오징어먹물치즈
모차렐라치즈
치즈는 인(P)과 칼슘 함량이 매우 높다. 성장기 어린이들의 뼈 발육과 노년층의 골다공증에 매우 좋은 음식이다. 칼슘은 혈압을 낮추고 피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 등 성인병 환자에게도 좋다. 또한 입안의 산도를 낮춰 치아의 칼슘, 인 등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뿐 아니라 손상된 치아에 미네랄을 보충해 충치를 예방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팔리는 치즈는 대략 800여 종에 달한다. 이에 따라 수분 함량에 따른 단단한 정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크게는 연질, 반경질, 경질, 초경질 등 4가지다.
연질 치즈의 수분량은 45~52% 정도다. 특히 바로 먹는 신선 치즈는 수분량이 최대 80%에 달할 정도로 부드러우며 숙성 때 생기는 냄새가 없어 샐러드 등에 많이 이용한다. 면양 젖으로 만드는 신선 페타, 우유로 만드는 쿼크, 크림치즈 등이 이에 포함된다. 숙성 치즈 중에서는 페타, 카망베르, 브리 등이 여기에 속한다.
반경질 치즈의 수분 함량은 40~45%다. 2~3개월간 박테리아와 곰팡이로 숙성된다. 브릭, 포트살루와 블루치즈류 등이 대표적인 제품이다.
경질 치즈(수분함량 35~40%)는 4~6개월간 박테리아로 숙성시킨다. 치즈 눈(둥근 구멍)이 있는 에멘탈 치즈는 만화영화 ‘톰과 제리’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치즈 눈이 없는 치즈는 체다, 고다, 에담 등이 있다.
초경질 치즈(수분함량 30~35%)는 8~14개월간 박테리아로 숙성시키는데 매우 단단한 종류로 피자에 뿌려 먹는 파마산치즈와 로마노가 대표적이다.
가공 치즈는 2가지 이상의 자연 치즈(50% 이상)를 혼합해 녹인 뒤 다른 재료나 첨가물을 넣어 만드는 치즈다. 슬라이스나 포션 형태로 포장돼 대형 매장에서 팔리거나 크림과 혼합해 빵에 발라 먹거나 얹어 먹는 용도로 많이 이용된다. 모조 치즈는 식물성 지방을 녹여 유화안정제(유화제)를 넣은 뒤 식물성 또는 우유 단백질과 섞어 치즈 형태로 만든 제품이다. 모조 치즈는 엄격히 말하면 치즈로 볼 수 없어 ‘기타식품류’로 분류되고 있으며 보통 저가형 피자 등에 쓰인다.
소비자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치즈는 ‘치즈의 왕’이라 불리는 브리다. 프랑스 파리 근교에서 700년대 중반에 처음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가난한 사람들이 먹던 치즈였으나 이윽고 전 계층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흰색의 곰팡이가 표면을 덮고 있고 향이 깊고 부드럽다는 게 특징이다. 작게 썰어 와인이나 커피와 함께 먹는 디저트로 인기다.
카망베르는 나폴레옹이 좋아한 치즈로 알려져있다. 고소하고 부드러운 흰 곰팡이 연질 치즈다. 표면에 솜털 모양의 흰 곰팡이가 줄무늬 모양으로 덮여 있다. 식빵이나 비스킷, 카나페 등과 잘 어울린다.
마스카르포네는 부드러운 크림치즈다.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 지역에서 만들어졌다. 이탈리아 디저트인 티라미슈 케이크를 만들 때 쓰인다. 우유에서 크림을 분리해 만들어 지방이 많고 맛이 달며 짠맛이 없어 과일이나 향신료 등을 섞어 다양한 요리에 이용된다.
모차렐라는 피자 치즈로 잘 알려진 이탈리아 대표 신선 치즈다. 물기가 많고 진득한 게 특징이다. 흰색 젤리처럼 말랑말랑하며 뜨거워지면 실처럼 길게 늘어난다. 피자나 파스타, 샐러드 등에 애용된다. 에담은 네덜란드에서 생산되는 경질 치즈다. 수출을 위해 붉은 왁스가 칠해져 있다. 크림을 제거한 우유로 만들어 지방 함유량이 낮아 딱딱하고 짠맛이 강해 와인과 잘 어울린다.
정석근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농업연구관
■문의 douzirl@seoul.co.kr
2014-10-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