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회사 이노션이 출시한 막걸리 ‘보스토끼’ 시음기
이노션이 자체 개발한 지식재산권(IP) 캐릭터 ‘보스토끼’ 캐릭터를 활용해 만든 막걸리의 디자인.
이노션 제공
이노션 제공
“찰 땐 경쾌하고 상큼… 온도 오르면 묵직한 바디감
요즘 감미료 안 쓰고 작정해 만든 맛있는 막걸리 많아”광고회사 이노션이 막걸리를 출시한다며 시음을 권했다. 안타까운 점은 기자가 아무리 술꾼이지만 단 하나 마다하는 주종이 있으니, 그것은 막걸리, 동동주 등 탁주들. 싫어하진 않지만 탁주를 조금만 마셔도 몸에 이상 반응이 오는 체질이다. 그래서 다른 주종에 비해 맛을 봐도 도무지 몇 자 적을만한 경험과 노하우가 턱없이 부족하다.
하지만 술을 리뷰하는 소중한 기회를 놓칠 순 없었다. 주종에 제약이 없는 본지의 또다른 술꾼 강신 경제부 차장에게 기회를 넘겼다. 그는 이노션이 6일 출시한 ‘보스토끼’ 막걸리를 지난달 말 미리 마셔 보고 평을 적어 보냈다. 취중에 보낸 글을 지난 2일 고쳐서 다시 보냈다.
강 기자의 보스토끼 총평은 ‘잘 만든 술이지만 요즘 이정도 되는 술은 많다’는 것이다. 다만 이 평은 중급자 이상의 취향에 따른 점이라는 걸 감안해야 한다. 그는 위스키, 와인 등 다양한 각 주종의 술을 마셔 보고 자주 글을 쓴다.
강 기자는 “모든 술맛은 술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막걸리도 마찬가지”라면서 “이 제품은 변화의 폭이 더 드라마틱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술이 찰 때와 조금 덜 찰 때의 바디감과 맛의 차이가 상당히 컸다고 한다.
그는 보스토끼가 “아주 찰 땐 경쾌했다. 단맛은 희미했다. 피니시에서는 오이 향이 스쳤다. 시종 탄산이 간지러워 기분이 좋았다”고 평가했다.
술을 따라 놓고 시간이 지나 온도가 오르면 술맛이 아주 많이 달라지는 모양이다. 그는 “바디감이 무거워졌다. 탄산의 존재감이 더해졌고 당도도 올라갔다”며 “과일이 아니라 초콜릿의 단맛이었다. 거기에 쌉싸름한 피니시가 더해지니 영락없는 다크 초콜릿이었다”고 표현했다.
직접 마셔 보진 않았지만, 차가울 때는 경쾌하고 상큼한데 온도가 좀 오르면 묵직하고 달큰하다 쌉싸름하게 끝나는 다크 초콜릿 같은 막걸리라니. 좋은 와인을 표현하는 말 같다.
그런데 강 기자는 “잘 만든 술이다. 하지만 사서 마실 것 같지는 않다”고 총평을 내렸다. 그 이유는 요즘 이 정도 좋은 막걸리들이 많아, 딱히 차별점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요즘 감미료 안 쓰고 작정하고 만든 막걸리는 다 맛있다. 그중에서 굳이 이 제품을 고를 이유를 찾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병 디자인도 아쉬웠다고 말했다.
이노션이 만든 보스토키 캐릭터.
이노션 제공
이노션 제공
술은 요즘 유명한 한강주조와 함께 만들었다. 멥쌀 100%로 제조한 9도 생막걸리로, 보관 방법(온도)에 따라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강 기자의 평가와 비슷하다. 700㎖에 권장 소비자가격은 7900원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