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전문가’ 양승훈 교수 제언
양승훈 경남대 교수
●제조업 아직 은 도약 기회 남았다
제조업과 산업도시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자 양승훈 경남대 교수는 “대한민국의 제조업은 아직 붕괴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중소기업과 사내 하청업체 등이 도산하면서 위기에 놓인 것은 맞지만, 전북 군산을 비롯해 부·울·경 등 기존 제조업 중심 지역의 경우 제조업을 번성시킨 노하우를 바탕으로 혁신과 변화가 뒤따른다면 다시 도약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양 교수는 1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조업 지역이 쇠퇴했다고 다른 업종으로 주력 산업을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간 지역이 축적한 역량과 인프라, 경험 등을 더욱 살리는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며 “지역 내 제조업 기반의 기업들과 공과대학, 수십 년간 경험을 쌓은 기술장인들을 결합하면 제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조업이 부활하면 좋은 일자리 만들기가 뒤따라야 한다. 양 교수는 “고용 안정을 비롯해 성실하게 일하면 임금이 오르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가령 지금의 고용시장은 정규직 채용을 기피하지만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월급은 곱절이나 차이 나는 경우도 있다. 능력을 보인 직원은 정규직으로 전환시켜 주고 정규직 자리도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용 불안에 떠는 노동자가 없도록 안전하고 수준 높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제조업 쇠퇴 문제에 접근해야 청년은 물론 중장년층 노동자까지 지역에 붙잡아 둘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일자리 통한 인구 유입 구조 만들어야
조선소에서 5년간 근무하며 관찰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경남 거제와 조선업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저서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2019년)를 펴낸 양 교수는 이달 말엔 제조업의 현실과 성장 동력을 잃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고찰하는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를 출간할 예정이다.
여성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도 필수적이다. 양 교수는 “미국 등 해외의 자동차 조립 라인에는 여성 노동자가 많지만 현재 제조업에서 뽑는 인원은 대부분 남성 위주”라면서 “한번 떠난 여성이 다시 지역으로 돌아올 가능성은 작은 만큼 만족할 만한 일자리로 여성을 지역에 붙잡고 결혼이나 출산 등으로 직장을 잃을 걱정을 하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야 지역과 지역 제조업을 되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4-03-2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