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보리수, DDP 세덤… 문화 전령사 된 나무와 풀

인도보리수, DDP 세덤… 문화 전령사 된 나무와 풀

이은주 기자
입력 2024-09-05 12:22
수정 2024-09-05 15: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한식물 길이 보전하세] 외교 전령사가 된 식물

30㎝로 와서 3m로 큰 보리… 한·인도 관계 성장
자하 하디드 고향의 사막식물 ‘세덤’ 수놓인 DDP
우호 관계·친밀감에 검역까지 완벽해야 ‘외교 성공’

이미지 확대
인도가 한·인도 간 관계 격상을 기념해 10여년 전 한국에 선물했떤 인도보리수가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 열대온실에서 쑥쑥 자라고 있다. 처음 한국에 왔던 2014년 3월 30㎝였던 인도보리수의 키는 5일 현재 약 3m 30㎝까지 자랐다. 단촐했던 잎도 무성해졌다. 국립수목원 제공
인도가 한·인도 간 관계 격상을 기념해 10여년 전 한국에 선물했떤 인도보리수가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 열대온실에서 쑥쑥 자라고 있다. 처음 한국에 왔던 2014년 3월 30㎝였던 인도보리수의 키는 5일 현재 약 3m 30㎝까지 자랐다. 단촐했던 잎도 무성해졌다. 국립수목원 제공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의 열대 온실에는 허리 짚고 고개를 꺾어 올려다봐야 가지의 끝이 보이는 인도보리수가 있다. 10년 전 약 30㎝ 묘목으로 식재했던 인도보리수는 무럭무럭 자라 3m 50㎝의 열대온실 터줏대감이 되었다. 매년 부처님오신날이 되면 근처 남양주에 위치한 사찰인 봉선사에서 인기스타 대접을 받는다. 예사 나무가 아니라 기원전 6세기경 석가모니가 7일 간 명상한 뒤 득도할 때 그늘을 드린 신성한 인도보리수의 후계목이라서다.

인도보리수는 한국과 인도 양국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는 과정을 함께한 특별한 외교적 선물이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4년 1월 16일 인도를 국빈방문 했을 때 만모한 싱 당시 인도 총리가 인도보리수 묘목 증정 의사를 밝혔다. 이전까지 인도 정부가 인도보리수 묘목을 외교적 선물로 활용한 사례는 태국, 스리랑카 두 나라 뿐이었는데 국교가 불교가 아닌 나라로는 한국에 최초로 인도보리수를 보낸 것이다. 2014년 3월 19일 국립수목원에 식재될 때 30㎝ 였던 인도보리수는 그 해 12월 120㎝로 놀랍도록 빠르게 자랐고, 인도보리수의 빠른 성장만큼 양국의 교류도 빠르게 진행돼 2015년 5월 18일엔 싱 총리 후임인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방한해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위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식물이 주도하는 외교이니 생명력과 번식력이 강할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세계사적으로 드문 일이지만 한 번 물꼬가 트이자 한국에서 다시 인도와의 ‘나무 외교’가 재현됐다. 2019년 2월 한·인도 정상회담을 위해 한국을 다시 국빈방문한 모디 총리는 허성곤 당시 김해시장에게 인도보리수 후계목 1그루를 다시 기증했다. 이번엔 7㎝ 묘목으로 와서 지금 높이 2m 80㎝까지 자랐다.

‘식물 외교’엔 태생적으로 콘텐츠가 담긴다. 경남 김해시가 국내에서 두 번째로 인도보리수를 증정받을 때에도 신라 수로왕의 왕비 허왕후(허황옥)가 인도에서 왔다는 설화 덕을 봤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담긴 이야기는 인도가 신성하게 생각하는 인도보리수를 한국에 선물할 만큼 각별한 관계로 이어질 계기가 됐다. 김해시는 내년 준공 예정인 불암동 허왕후 기념공원에 유리온실을 마련해 인도보리수를 옮길 예정이다. 인도보리수가 역사 속 과거와 현재, 미래를 궤뚫어 계속해서 친교의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국가 간 공식적인 사절이 아니라 ‘문화적 외교사절’로도 식물이 지닌 힘은 적지 않다. ‘건축계 노벨’인 프리츠커상을 여성 최초로 수상한 자하 하디드(1950~2016)의 설계에 포함돼 서울 동대문 DDP의 옥상을 수놓은 다육식물 세덤이 바로 그런 경우다. 모양과 크기가 제각각인 4만 5133장의 외장패널로 둘러싸인 DDP 지붕에는 사막이나 바위지대 틈에서도 잘 자라는 4계절 초화류인 세덤이 있다. 여름엔 건물과 주변의 열을 식히고 겨울엔 건물을 보온하는데 일조하는 파랑세덤(리플렉섬)은 한국 토종 야생화로 울릉도와 독도 식물인 섬기린초, 한국 남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바닷가 바위 위에서 잘 자라는 땅채송화와 함께 식재되었다.

DDP 관계자는 5일 “자하 하디드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태어났고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대학을 다녔다”면서 “원래 DDP의 옥상을 시민들이 걸어다닐 수 있는 공간으로 구상했던 자하 하디드에게 사막 식물인 세덤은 익숙하면서 다루기 쉬운 식물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초 설계와 다르게 DDP가 높게 변경되면서 세덤을 심은 옥상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에만 개방하고 있다.

DDP의 세덤처럼 잘 자라주면 걱정이 없지만 여러 이유로 선물한 식물이 잘 자라지 않을 경우 외교적인 후과가 따르기도 한다. 식물 외교엔 리스크(위험)가 따른다는 건데 대표적인 사례가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워싱턴DC 백악관에 식수했던 떡갈나무다. 2018년 4월 23일 마크롱 대통령은 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해병대가 독일군을 격퇴했던 프랑스 북부 벨로숲에서 가져온 떡갈나무 묘목을 미국에 선물했다. 두 정상 부부가 백악관 뜰에 나무를 심었는데 며칠 뒤 나무가 사라졌다. 검역을 위해 나무를 이동시킨 것이었는데, 검역 과정 중 나무는 죽고 말았다.

이미지 확대
1910년대 일본이 미국 워싱턴DC에 기증한 벚나무의 꽃이 만개했을 때 열리는 ‘벚꽃축제’는 미일 동맹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상징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식물을 활용한 일본의 ‘소프트외교’ 전략이 처음부터 순항했던 건 아니다. 1910년 처음 선물했던 벚꽃 2000그루는 검역상 이유로 불태워졌다. 일본은 좌절하는 대신 더 젊고 건강한 벚꽃을 워싱턴DC에 다시 선물한데 이어 벚나무 서식지 주변에 일본식 탑을 선물하고,  벚나무가 늙거나 베어지면 새 벚나무를 선물하며 식물외교를 이어가고 있다. 미 국립공원관리단 홈페이지· 유튜브 캡처
1910년대 일본이 미국 워싱턴DC에 기증한 벚나무의 꽃이 만개했을 때 열리는 ‘벚꽃축제’는 미일 동맹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상징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식물을 활용한 일본의 ‘소프트외교’ 전략이 처음부터 순항했던 건 아니다. 1910년 처음 선물했던 벚꽃 2000그루는 검역상 이유로 불태워졌다. 일본은 좌절하는 대신 더 젊고 건강한 벚꽃을 워싱턴DC에 다시 선물한데 이어 벚나무 서식지 주변에 일본식 탑을 선물하고, 벚나무가 늙거나 베어지면 새 벚나무를 선물하며 식물외교를 이어가고 있다. 미 국립공원관리단 홈페이지· 유튜브 캡처


사실 외교용 식물이 검역 단계를 거치지 못한 채 고사한 일이 역사적으로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미국 워싱턴DC의 대표적인 봄 축제인 ‘벚꽃축제’는 일본이 미국에 선물해 포토맥강 주변에 심은 벚나무 3020그루로부터 시작된 건 유명한 일이다. 그런데 이에 앞서 1910년 일본 도쿄시가 워싱턴DC에 선물했던 2000그루의 벚나무는 미국 농무부 검역을 통과하지 못해 모두 태워진 일이 있었다. 첫 선물 2000그루를 모두 태운 뒤 일본은 더 젊고 건강하며 품종을 다양하게 한 벚나무를 다시 선별해서 보냈고 이후 일본은 최근까지 워싱턴DC에 벚나무를 선물하며 벚꽃을 ‘소프트외교’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