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밀려와 모였고, 떠밀리듯 떠난다

떠밀려와 모였고, 떠밀리듯 떠난다

김명국 기자
입력 2022-01-11 19:48
수정 2022-01-12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포토다큐]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

이미지 확대
영화 세트장 같은 비탈진 마을길을 노인이 힘겹게 오르고 있다.
영화 세트장 같은 비탈진 마을길을 노인이 힘겹게 오르고 있다.
“처음엔 전기도 안 들어오고, 수도도 없어서 호롱불 켜고, 산에서 약수 길어다 생활했어요.” “8평 천막에서 시작해 나중에 무상 보급된 블록으로 집을 지어서 살았지요.”
이미지 확대
백사재생지원센터에 모아 놓은 생활유물 문짝, 전기기타 아래의 요꼬(니트 편직) 기계.
백사재생지원센터에 모아 놓은 생활유물 문짝, 전기기타 아래의 요꼬(니트 편직) 기계.
●강제 이주한 도시 빈민들의 보금자리

서울 노원구 중계동 104번지 불암산 기슭에 자리잡은 백사마을은 그렇게 시작됐다. 1967년 용산, 청계천, 영등포, 안암동 등에서 살던 판자촌 도시 빈민들은 개발을 이유로 강제로 옮겨졌고 생존을 위해 모여 살았다. 마을로 시집온 지 50년이 지났다는 이금자(78)씨는 “신혼 첫날을 화장실도 없는 집에서 시누이들과 한방에서 시작했다”고 어려웠던 시절을 회고했다.
이미지 확대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아 마을의 주연료는 아직도 연탄이다.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아 마을의 주연료는 아직도 연탄이다.
마을이 늘 힘든 곳만은 아니었다. 동네 어귀 삼거리식당에서 늦은 점심을 들던 초기 정착민 정두진(64)씨는 백사마을의 전성기를 증언했다.
이미지 확대
마을과 함께한 현대이발관. 이발 의자 2개와 온돌방이 놓여 있다.
마을과 함께한 현대이발관. 이발 의자 2개와 온돌방이 놓여 있다.
1980년대 전후로 섬유제품 수출이 한창일 때 집집마다 요꼬(니트 편직) 기계를 들여와 가내공업을 시작했다. 사람들이 몰리면서 마을 입구에는 시장이 형성됐다. 술집, 당구장, 다방, 식당 등이 즐비했다. 마을 밖에서 출퇴근하는 노동자들로 아침저녁마다 거리는 붐볐다. 1967년부터 현대이발관을 운영해 온 터줏대감 이달수(80)씨는 “마을이 번성할 때는 이른 시간부터 이발 손님이 몰려오는 바람에 정오가 한참 지나서야 첫 끼니를 챙길 정도로 수익이 좋았다”면서 “지금은 타지로 이주한 옛 손님들만 가끔씩 들른다”고 넋두리했다.
이미지 확대
비바람을 막기 위해 지붕에 천막과 폐타이어를 올려놓았다.
비바람을 막기 위해 지붕에 천막과 폐타이어를 올려놓았다.
자원봉사자들의 방문이 끊이지 않아 ‘고독사 없는 마을’로 통했지만 해가 갈수록 빈집이 늘어나면서 찾는 이들의 발길이 뜸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방역 수칙으로 인해 기부나 봉사활동은 더욱 줄어들었다. ‘평화의집’에서 급식 봉사를 하는 안정자(68)씨는 마을과 인연을 맺은 지 36년이 됐다. 집이 있는 강서구 등촌동에서 전철 세 번, 버스 한 번을 갈아타고 와야 하는 먼 곳이지만 주민들이 건네는 “오늘도 고생했네” 한마디에 힘든 줄 모르고 지금까지 왔다고 한다. 돌아가신 분들이 마음에 상처로 남아서 마을이 사라지면 청소년 가장을 돕는 봉사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미지 확대
마을 입구에 걸려 있는 재개발 시행사의 현수막.
마을 입구에 걸려 있는 재개발 시행사의 현수막.
●코로나로 자원봉사자 발길도 뜸해져

마을은 지난 연말에 재개발 사업 시행을 확정했다. 대기업 건설사를 시행사로 지정하고, 공동주택 1953가구와 공공임대주택 484가구 등 총 2437가구를 조성하는 최종안을 가결했다. 600여 가구 중 현재 남아 있는 130여 가구는 올해 말까지 모두 이주할 예정이다. 시는 사라지는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를 위해 백사재생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주거지 보전 사업과 원활한 공동체 지원, 주민의 재정착을 돕는 한편 마을 주민의 이야기를 보존하고, 이미 수집한 생활유물 1100여 점을 활용한 기록관도 세울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비탈길을 따라 다닥다닥 붙어 있는 가옥들.
비탈길을 따라 다닥다닥 붙어 있는 가옥들.
●서울시, 재개발로 사라지는 주민 삶 기록

임인년 새해를 맞은 마을 입구에는 재개발 확정을 알리는 시행사의 현수막이 나부꼈다. 그 너머로 길고양이는 하릴없이 골목을 어슬렁거리고, 노인은 가파른 언덕길을 힘겹게 올랐다. 퇴락한 집들의 허공에는 차가운 바람만이 불고, 주인이 떠난 빈터엔 황폐함과 침묵만이 내려앉았다.

2022-01-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