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낙태했다… 못다 한 이야기
지난 10월부터 두 달 동안 서울신문이 보도한 ‘#나는낙태했다’ 인터뷰 시리즈를 읽은 독자들이 보내온 메일로 구성한 포스트잇 모음. 자신의 임신중단 경험을 풀어 놓은 사람부터 ‘낙태죄’ 폐지에 대한 응원 메시지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이어졌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불공정한 모순, 이젠 바뀌길
지난 두 달, 서울신문이 낙태죄 폐지를 앞두고 직접 임신중절을 경험한 여성들의 목소리를 엮어 ‘#나는 낙태했다’ 인터뷰 시리즈를 보도하자 독자들의 이메일이 쏟아졌습니다. “나도 낙태했다”며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고 싶다고 용기를 낸 겁니다.
누군가는 쉽게 손가락질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낙태한 여성은 ‘비정한 엄마’나 ‘철없는 청소년’, ‘불쌍한 사람’ 또는 ‘죄인’이니까요. 하지만 이들은 입을 모아 말했습니다. 그때로 돌아가도 같은 선택을 할 거라고요. 여동생과 자신이 모두 낙태를 경험했다는 40대 여성은 “20년 전만 해도 출산도, 낙태도 남편 허락하에 하는 게 당연했다. 이제 성인이 된 내 딸들은 이 부당함을 안다”며 “아직도 낙태를 불법으로 몰래 하는 사실이 한국 여성의 인권이 얼마나 뒤처졌는지 보여 준다”고 했습니다.
또 다른 이는 “10년 넘게 흘러도 문득 내가 죄인이라는 불안감이 엄습한다”며 “내 딸은 내가 본 충격적인 낙태 영상 대신 임신중절도 본인의 선택이라고 배웠으면 한다”고 전했습니다. 남성들의 응원도 이어졌습니다. 한 독자는 “책임을 회피하는 남성과 상대방의 존엄을 파괴한 남자 부모들이 비겁하다고 느꼈다”며 “같은 남자로서 부끄러웠다”고 했습니다.
낙태죄 전면 폐지를 넘어 여성의 신체를 국가가 ‘법’으로 통제하려는 게 잘못이라는 데도 많은 이들이 공감했습니다. 자신도, 자신의 어머니도 낙태를 경험했다는 50대 여성은 “어머니 세대는 남아선호 사상이 강할 때는 대여섯 명씩 출산하고, 반대로 산아제한이 목표일 때는 무수한 낙태를 해야 했다”며 “임신중단과 출산을 결정할 권리가 개인이 아닌 국가에 있는 상황이 여성을 ‘출산 기계’로 취급하게 만든다”고 지적했습니다.
●나의 이야기가 당신에게 힘이 되었으면
독자들이 보낸 메일의 끝자락은 항상 비슷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원치 않는 임신으로 고통받을 수많은 여성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로 힘이 되어 주고 싶다고요. 이제 열흘이면 우리는 낙태죄가 없는 한국에서 사는 첫 번째 인류가 됩니다. 이미 스스로 비난하고 있을 여성들이 낙태죄 폐지로 최소한 처벌에 대한 두려움만은 느끼지 않고 자신의 선택을 존중받을 수 있길, 간절히 바라 봅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2020-12-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