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제 역할 못해 무당층 생겨… 좋은 민생 정책으로 ‘정치효능감’ 느끼게 해야”

“정치가 제 역할 못해 무당층 생겨… 좋은 민생 정책으로 ‘정치효능감’ 느끼게 해야”

손지은 기자
입력 2021-01-12 21:08
수정 2021-01-13 0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야 원내 정당들의 무당층 흡수 전략

이미지 확대
여야 원내 정당들은 정치가 자신의 삶에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한다고 느끼거나 갈등·대결 구도에 염증을 느낀 국민이 무당층을 이룬다고 공통으로 진단했다. 특히 민생과 경제 이슈가 무당층을 지지층으로 끌어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좋은 민생 정책을 만들어 정치효능감을 느끼게 하면 무당층을 흡수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의 홍익표 민주연구원장은 무당층을 세분화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원장은 12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무당층에는 정치에 무관심한 국민은 물론 지지 정당과 후보를 바꿀 수 있는 스윙보터(부동층), 정치적 의사 표현을 꺼리는 샤이 유권자까지 다양한 국민이 포함돼 있다”고 분석했다. 또 “무당층의 존재는 정치권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반성이 필요하다”며 “정치의 역할을 폄하해 정치혐오를 확산시키는 사회적 분위기도 주요한 원인”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탄핵 이후 등을 돌린 지지층이 무당층으로 남아 있는 사례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은 “탄핵으로 기존 지지층의 67%가 빠져나갔는데 당시 약 47%가 무당층으로 집계됐고, 지난해 4월 총선에서 약 절반이 돌아왔다”며 “여전히 지지층 일부가 무당층으로 남아 있지만 규모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했다.

정의당 김종철 대표는 “결국 정치효능감의 문제”라며 “무당층 증가는 누군가를 심판하거나 반대하기 위한 지지로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이태규 사무총장은 “문재인 정권은 싫지만 그렇다고 국민의힘을 찍을 수 없는 국민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줘야 한다”며 “이런 정치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무당층이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당층을 흡수할 전략으로는 입을 모아 민생을 꼽았다. 홍 원장은 “무당층이 정치에 대한 관심을 회복하고 참여하도록 하는 데에는 무엇보다 삶과 밀착된 경제가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안정적인 주거와 생활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일자리, 심화하는 자산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도 ‘먹고사는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지 원장은 “부동산과 세금뿐 아니라 라면형제·정인이 사건 등 사회안전망과 공동체 복구에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또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닌 삶을 나아지게 할 수권정당의 모습에 집중해 무당층의 신뢰와 관심을 모을 것”이라고 했다.

정의당 김 대표도 “민생 외에는 답이 없다”며 “산업재해라는 중요한 민생 이슈를 국민들에게 각인했고, 코로나19로 흐트러진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전 국민 고용·소득보험에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당도 탈(脫)이념적 경제 이슈에 주목했다. 이 사무총장은 “예전에는 진영과 이념에 대한 경향성이 강했으나 현재 유권자들은 실질적 삶의 문제인 경제에 큰 영향을 받는다”며 “정상적으로 돈을 번 사람이 세금을 덜 내는 게 가장 좋은 복지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것”이라고 했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21-01-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