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방북한 대북 특사단의 방문 일정이 평양에 도착한 뒤 협의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각에서는 ‘깜깜이 일정’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때문에 무엇보다 관심인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특사단의 면담이 언제 어디서 열리는지를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김정은과 면담을 예정돼 있다’고 밝혀 만날 가능성은 확실해 보이지만, 지켜볼 일이다. 출발 당시까지만해도 특사단의 숙소도 정해지지 않았다.
우선 거론 되는 것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동선이 드러날 것을 우려한 북한의 입장을 우리 정부가 이해하고 배려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북한에서 ‘1호 행사’로 불리는 최고 지도자의 동선은 특급 비밀이다. 북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최고 지도자의 신변 안전이기 때문이다. 사실 외교관계였으면 상당한 결례였겠지만, 남북 관계는 말 그대로 특수 관계여서 이 같은 일들이 종종 발생한다. 과거 2005년 정동영 통일부장관 방북 당시에도 막판까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면담 일정이 확정되지 않아 전전긍긍했던 적도 있다.
다음으로는 이번 특사단의 방북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 간 만남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면담이나 회담 장소를 미리 외부에 공개할 경우 타국 첩보 기관의 타깃이 될 수 도 있다. 첩보위성 등을 보유한 국가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회담 내용을 도청하고 싶을 것이고 가능하면 남북 간 논의의 전체 그림을 보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겹겹의 보안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정찰위성을 보유한 미국의 경우에는 충분히 회담 내용을 입수할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북미대화를 위한 비핵화 논의’·‘남북관계 개선’ 등 충분히 예상되는 남북 간 회담 주제라고 하더라도, 정부 특사단이 북한을 방문한 이상 북한 당국과 내용을 조율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특정 사안에 대해 북한이 면담에서 제외하자거나 추가하자고 요구할 경우 일부 진통이 예상된다. 우리 측이 난감해하는 한미 군사훈련 중단 내지 연기와 같은 주제를 제시할 경우 상당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 된다. 따라서 회담 주제 설정 문제로 서로 간 의견이 엇갈리면 그만큼 일정 등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기에 애초 일정을 평양에 도착한 뒤 정하자고 합의했을 가능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밖에도 ‘쇼’를 좋아하는 북한 특성상 일정을 미리 알려주지 않고 야밤을 틈타 특사단 숙소로 깜짝 방문을 할 수도 있다. 1998년 10월 김정일은 방북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머물던 평양 백화원 초대소를 늦은 밤에 예고 없이 방문한 바 있다. 한 정부 관계자는 “북한 당국이 큰 틀에서 특사단을 맞이해 회담을 하고 김 위원장과 면담을 주선하는 것이기에, 일단 경과를 지켜봐야 알 듯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 특사단이 김정은과 과연 ‘어디서 만날까’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과거 사례에 비춰 볼 때 김정일이 집무실로 사용하고, 현재 김정은 역시 여러 집무실 중 하나로 사용하는 평양시 중구역에 위치한 옛 중앙당 3호 청사가 회담 장소로 꼽힌다. 이는 이번 특사단이 10명 남짓이어서 과거 정부 대표단이 방북할 때마다 만찬이 이뤄지던 만수대 의사당과 같은 대규모 공간이 필요 없는 것도 이유로 지목된다. 또 지난달 방한했던 김여정 당 선전부부장 일행이 청와대를 예방했던 것에 미뤄 볼 때 답례 차원으로 방북한 특사단을 다른 곳 보다는 집무실이 위치한 중앙당 본 청사로 초대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이 모든 일정도 김정은의 마음이 내켜야 가능한 일. 김정은이 사실상 최종 결정권자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특사단을 보겠다고 결정하면 그대로 따르는 것이 북한의 생리다. 따라서 집무실이 아닌 제3의 장소에서 김정은과 특사단의 면담이 열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3의 장소로는 평양 외곽에 위치한 김정은 별장 등이 거론된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소장은 “김정은이 막판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예정된 일정도 변경되는 것이 북한”이라면서 “현재로서는 현 김정은 여러 집무실 중 하나인 중앙당 서기실 건물이 회담 장소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평양으로 향하는 대북 특사단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특사로 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사단이 5일 오후 북한을 방문하기 위해 서울공항에 도착, 특별기 앞에서 기념 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서훈 국정원장,정의용 국가안보실장,천해성 통일부 차관,김상균 국정원 2차장. 2018.3.5. 연합뉴스
다음으로는 이번 특사단의 방북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 간 만남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면담이나 회담 장소를 미리 외부에 공개할 경우 타국 첩보 기관의 타깃이 될 수 도 있다. 첩보위성 등을 보유한 국가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회담 내용을 도청하고 싶을 것이고 가능하면 남북 간 논의의 전체 그림을 보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겹겹의 보안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정찰위성을 보유한 미국의 경우에는 충분히 회담 내용을 입수할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북미대화를 위한 비핵화 논의’·‘남북관계 개선’ 등 충분히 예상되는 남북 간 회담 주제라고 하더라도, 정부 특사단이 북한을 방문한 이상 북한 당국과 내용을 조율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특정 사안에 대해 북한이 면담에서 제외하자거나 추가하자고 요구할 경우 일부 진통이 예상된다. 우리 측이 난감해하는 한미 군사훈련 중단 내지 연기와 같은 주제를 제시할 경우 상당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 된다. 따라서 회담 주제 설정 문제로 서로 간 의견이 엇갈리면 그만큼 일정 등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기에 애초 일정을 평양에 도착한 뒤 정하자고 합의했을 가능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정부 특사단이 김정은과 과연 ‘어디서 만날까’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과거 사례에 비춰 볼 때 김정일이 집무실로 사용하고, 현재 김정은 역시 여러 집무실 중 하나로 사용하는 평양시 중구역에 위치한 옛 중앙당 3호 청사가 회담 장소로 꼽힌다. 이는 이번 특사단이 10명 남짓이어서 과거 정부 대표단이 방북할 때마다 만찬이 이뤄지던 만수대 의사당과 같은 대규모 공간이 필요 없는 것도 이유로 지목된다. 또 지난달 방한했던 김여정 당 선전부부장 일행이 청와대를 예방했던 것에 미뤄 볼 때 답례 차원으로 방북한 특사단을 다른 곳 보다는 집무실이 위치한 중앙당 본 청사로 초대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우리의 청와대 비서실에 해당하는 북한 노동당 서기실이 입주해 있는 중앙당 본 청사 건물. 이 건물에는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러 집무실 중 하나가 위치해 있다. 지난 1월 1일 김정은이 새해 신년사를 발표할 당시 조선중앙TV는 이 건물을 장소로 비췄다.
노동신문
노동신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소장은 “김정은이 막판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예정된 일정도 변경되는 것이 북한”이라면서 “현재로서는 현 김정은 여러 집무실 중 하나인 중앙당 서기실 건물이 회담 장소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