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대부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학교에 가기 어렵고 한국말이 조금이라도 되면 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실정이다.”
강선혜 무지개청소년센터 소장은 “한국인과 외국인의 재혼이 증가하면서 중도입국 청소년들도 늘어나지만, 이들은 오랜 기간 부모와 떨어져 지내느라 돌봄을 잘 받지 못했고 한국 문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해 살아가기가 여러모로 힘들다”며 포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문화 가족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 자녀들은 학교에서 교육을 받지만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무지개청소년센터에서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한국말과 문화 등을 중점적으로 배운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들은 학교에 가더라도 말이 서툴다는 등의 이유로 왕따를 당해 중도탈락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강 소장은 “이들 중에는 뛰어난 아이들도 많지만 쉽게 상처를 받는다”면서 “외국인 노동자 170만명, 다문화가족 79만명인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다수자인 우리 국민들의 인식 개선과 포용이 필요하고, 외국인이나 다문화가족과 더불어 사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이가 차별의 대상이 아니라 자산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위해서도 장기적인 대책을 세워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 소장은 지적했다.
중도입국 청소년은 2012년 실태조사에서 1만 7000명으로 추정되고, 법무부 귀화신청자는 7000명, 6~20세의 탈북 청소년은 2012년까지 3800명에 이른다. 다문화 자녀가 20만명이라는 안전행정부 통계에는 중도입국 청소년 중 일부만 포함돼 있다. 강 소장은 “초기 한국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인 레인보우스쿨의 지난해 이용자 수는 전체 중도입국 청소년의 4~5%에 불과하다.”면서 “레인보우스쿨이나 진로지원 프로그램 등 관련 예산이 늘어나 더 많이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칫 나중에 더 큰 사회적 비용이 들 수 있다는 우려도 덧붙였다.
그는 “탈북 청소년들은 꿈을 가지고 천신만고 끝에 한국에 왔는데 6개월 교육 후 탈북 청소년 비교문화 체험학습 1박 2일만 가지고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힘들다”면서 “언어문제는 없다지만 북한 사투리를 쓰면 깔보는 등 편견과 이질적 체제 등 장벽과 외로움 때문에 방황하는 아이들도 많다”고 전했다.
happyhome@seoul.co.kr
강선혜 무지개청소년센터 소장
이들은 학교에 가더라도 말이 서툴다는 등의 이유로 왕따를 당해 중도탈락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강 소장은 “이들 중에는 뛰어난 아이들도 많지만 쉽게 상처를 받는다”면서 “외국인 노동자 170만명, 다문화가족 79만명인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다수자인 우리 국민들의 인식 개선과 포용이 필요하고, 외국인이나 다문화가족과 더불어 사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이가 차별의 대상이 아니라 자산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위해서도 장기적인 대책을 세워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 소장은 지적했다.
중도입국 청소년은 2012년 실태조사에서 1만 7000명으로 추정되고, 법무부 귀화신청자는 7000명, 6~20세의 탈북 청소년은 2012년까지 3800명에 이른다. 다문화 자녀가 20만명이라는 안전행정부 통계에는 중도입국 청소년 중 일부만 포함돼 있다. 강 소장은 “초기 한국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인 레인보우스쿨의 지난해 이용자 수는 전체 중도입국 청소년의 4~5%에 불과하다.”면서 “레인보우스쿨이나 진로지원 프로그램 등 관련 예산이 늘어나 더 많이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칫 나중에 더 큰 사회적 비용이 들 수 있다는 우려도 덧붙였다.
그는 “탈북 청소년들은 꿈을 가지고 천신만고 끝에 한국에 왔는데 6개월 교육 후 탈북 청소년 비교문화 체험학습 1박 2일만 가지고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힘들다”면서 “언어문제는 없다지만 북한 사투리를 쓰면 깔보는 등 편견과 이질적 체제 등 장벽과 외로움 때문에 방황하는 아이들도 많다”고 전했다.
happyhome@seoul.co.kr
2014-11-1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