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헤이룽장성 무단장 부근… “간도는 고려 땅”
일제강점기 때 지식인들은 공험진을 어디라고 보았을까. 이 문제는 주로 간도 소유권 문제와 연결되어 언급되었다. 1921년 11월 간도(間島) 영신학교(永新學校) 윤화수(尹和洙) 학감(學監)은 ‘간도와 조선인의 교육’이란 강연에서 ‘고려 예종 때 송화강(松花江) 연안의 선춘령에 정계비를 세움으로써 (간도는) 완전히 고려 판도에 들어왔다’(‘개벽’·1921년 11월 1일)라고 말했다. 송화강은 만주에 있는 강이다. 1931년에 백두산에 올랐던 문인과 화가들은 마부(馬夫)들도 윤관 장군이 세운 선춘령비에 대해서 말한다면서 “두만강 밖 700리에 윤관 원수의 비가 있었다”고 말했다.(‘삼천리’·1931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선춘령을 지금의 헤이룽장성 무단장(牧丹江)시 부근의 닝안(寧安)현으로 보았다. 김경재(金璟載)는 ‘동란의 간도에서’라는 글에서 ‘윤관이…선춘령 위에 비를 세운 곳은 지금의 북만주 영안(寧安)현’이라고 말했다.(‘삼천리’·1932년 5월 15일)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물론 마부들까지도 공험진 선춘령이 두만강 북쪽 700리라는 사실을 상식으로 알고 있었다. 이런 상식을 밝혀냈다고 감사원에 처벌을 요청한 작금의 행태를 본다면 자신들이 살던 “총독부 시절보다 더하군”이라며 혀를 찰 것이다.2018-03-0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