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돈벌이 된 ‘고립의 일상’
“이용자에 유해” “중독 프로그래밍”페북·유튜브 출신 잇단 내부 고발
프랜시스 하우건 전 페이스북 수석 프로젝트 매니저.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최첨단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이용자들이 일상에서 접하는 콘텐츠의 특징이다. 이처럼 이용자를 더 오랜 시간 머물도록 하기 위해 작동되는 알고리즘 방식이 유해하다는 전현직 빅테크 기업 관계자들의 내부 고발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창립 18년 만인 지난해 10월 사명을 ‘메타’로 바꾼 페이스북이다. 프랜시스 하우건(37) 전 페이스북 수석 프로젝트 매니저는 같은 해 9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통해 페이스북이 이런 알고리즘의 폐해를 알고도 묵인했다고 폭로했다. 하우건은 이후 직접 성명을 내 “페이스북이 10대 청소년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고 사회의 분열을 조장하며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지만, 회사의 이윤과 성장을 우선시했기 때문에 이를 외면했다”며 “소셜미디어가 투명하게 운영돼야만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페이스북의 고위 임원으로 회사의 광고 수익 모델을 만드는 작업을 총괄했던 팀 켄들은 2020년 9월 미국 의회에서 “페이스북은 사용자로부터 강력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잘못된 정보와 음모론도 이용한다”고 폭로했다. 앞서 차마트 팔리하피티야 전 페이스북 부사장도 2020년 12월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 강연에서 “인지를 못 하겠지만 여러분들의 행동은 프로그래밍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주요 플랫폼인 유튜브 역시 예외는 아니다. 구글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기욤 샬로는 구글의 자회사인 유튜브의 콘텐츠 다양화 방식을 제안했다가 2013년 해고됐다. 이후 ‘알고트랜스페어런시’라는 사이트를 운영하며 구글, 유튜브,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의 추천 알고리즘 문제를 폭로하고 있다. 샬로는 지난해 12월 24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알고리즘은 사람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제공하기보다 중독되도록 노력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전 세계 사용량 1위의 소셜미디어인 틱톡(중국계 온라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대해 WSJ는 “자체 실험 결과 우울한 감정을 가진 것으로 설계된 틱톡 계정이 36분간 추천받은 콘텐츠 278개 중 93%가 우울증과 관련됐거나 슬픈 내용이었다”고 비판했다.
특별기획팀
2022-01-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