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바퀴벌레 들끓어 이웃들 신고… 강제 청소는 위법, 끝까지 설득”

“쥐·바퀴벌레 들끓어 이웃들 신고… 강제 청소는 위법, 끝까지 설득”

입력 2021-09-28 17:34
수정 2021-09-29 06: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쓰레기집 가구 어떻게 발견되나

이미지 확대
용산2가동 주민센터가 지난 11일 김칠수(가명) 노인의 쓰레기집 청소에 나섰다. 청소 전 김 노인의 부엌 앞 쪽방의 모습.
용산2가동 주민센터가 지난 11일 김칠수(가명) 노인의 쓰레기집 청소에 나섰다. 청소 전 김 노인의 부엌 앞 쪽방의 모습.
80대 노인 김현재(가명)씨는 동네 유명인사다. 지난 7월 28일 번동3단지종합사회복지관 박현정 복지사와 함께 방문한 서울 강북구 김 노인의 집 초록색 철제 대문 안은 2m 넘게 쌓인 고물과 쓰레기, 헌 옷 꾸러미 등으로 꽉 막혀 있었다. 반투명한 창문 너머로도 천장까지 들어찬 쓰레기들이 비쳤다. 박 복지사는 대문 앞에서 하염없이 김 노인의 이름을 불렀지만 대꾸도 없었다. 박 복지사는 7월 초부터 일주일에 한 번꼴로 김 노인을 찾아가 ‘집을 싹 청소하고 새 삶을 시작하자’고 설득한 터였다. 세 번째 방문인 이날도 박 복지사는 김 노인을 만나지 못했다. 대문을 한참 두드리던 그는 맞은편 슈퍼로 향했다. 슈퍼 주인은 “(김 노인이) 쓰레기가 꽉 찬 집에 잘 들어가지 않고, 월세방을 따로 구해서 살고 있다”고 일러 줬다. 이웃 이가영(51·가명)씨는 “쥐와 바퀴벌레가 들끓어 주민센터에 민원을 몇 번이나 넣었다”고 하소연했다.

쓰레기집이 발견되는 대표적인 통로 중 하나는 김 노인의 사례처럼 악취나 벌레로 인한 이웃들의 민원신고다. 사람에게 밴 냄새도 쓰레기집 발굴의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노원구의 한 종합사회복지관 최모(29) 복지사는 “식사 지원을 받기 위해 기관을 찾은 분에게서 나는 냄새가 심상치 않다는 걸 느끼고 가정을 방문해 보면 어김없이 쓰레기집”이라고 전했다.

쓰레기집을 발굴한 후 청소가 성사되기까지는 지난한 과정이다. 기자가 쓰레기집 의심 가구를 설득하는 과정에 동행할 때도 문전박대를 당하기 일쑤였다. 주택 건물 전체에 쓰레기를 쌓은 한 노인을 만났다. 노인은 복지사가 물건을 가져가기라도 할 것처럼 보였는지 한참을 노려봤다. 박 복지사는 공격적이고 날 선 반응에 익숙하다고 했다.

집 정리와 청소는 의지가 있는 주민센터 직원이나 복지사가 위기 가구를 자주 방문하며 오랜 시간 설득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청소를 꺼리는 사람의 집을 강제로 청소하는 것은 위법 소지가 있을뿐더러 정서적으로 불안한 사람을 자극할 수 있어서다. 구립풍납종합사회복지관 황은혜 팀장은 “자주 찾아뵙고 끊임없이 말로 설득한다”면서 “당사자가 거부하면 당분간은 정리에 대한 주제를 꺼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2021-09-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