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집 가구 어떻게 발견되나
용산2가동 주민센터가 지난 11일 김칠수(가명) 노인의 쓰레기집 청소에 나섰다. 청소 전 김 노인의 부엌 앞 쪽방의 모습.
쓰레기집이 발견되는 대표적인 통로 중 하나는 김 노인의 사례처럼 악취나 벌레로 인한 이웃들의 민원신고다. 사람에게 밴 냄새도 쓰레기집 발굴의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노원구의 한 종합사회복지관 최모(29) 복지사는 “식사 지원을 받기 위해 기관을 찾은 분에게서 나는 냄새가 심상치 않다는 걸 느끼고 가정을 방문해 보면 어김없이 쓰레기집”이라고 전했다.
쓰레기집을 발굴한 후 청소가 성사되기까지는 지난한 과정이다. 기자가 쓰레기집 의심 가구를 설득하는 과정에 동행할 때도 문전박대를 당하기 일쑤였다. 주택 건물 전체에 쓰레기를 쌓은 한 노인을 만났다. 노인은 복지사가 물건을 가져가기라도 할 것처럼 보였는지 한참을 노려봤다. 박 복지사는 공격적이고 날 선 반응에 익숙하다고 했다.
집 정리와 청소는 의지가 있는 주민센터 직원이나 복지사가 위기 가구를 자주 방문하며 오랜 시간 설득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청소를 꺼리는 사람의 집을 강제로 청소하는 것은 위법 소지가 있을뿐더러 정서적으로 불안한 사람을 자극할 수 있어서다. 구립풍납종합사회복지관 황은혜 팀장은 “자주 찾아뵙고 끊임없이 말로 설득한다”면서 “당사자가 거부하면 당분간은 정리에 대한 주제를 꺼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2021-09-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