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태로 기후전략 타격
물가 자극 오해 부가가치 창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 세계 공급망에 차질이 빚어지고 각국에 인플레이션이 엄습하면서 기후 대응 전략이 타격을 받고 있다. 주요 7개국(G7)이 지난달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에 공공기금을 지원하기로 합의하며 화석 연료인 천연가스의 생산을 늘리기로 한 것이 대표 사례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에너지 생산 단계에서의 비용을 늘릴 뿐 아니라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야기한다는 인식이 기후 대응의 가장 큰 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그러나 기후 대응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대책이란 견해도 있다. 지난 5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컨설팅사 딜로이트는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금 추세대로 간다면 향후 50년 동안 178조 달러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반면 2050년까지 세계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정책이 시행된다면 50년 동안 세계 경제에 43조 달러의 가치가 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를 복구하는 비용, 지구 평균 기온 상승에 따른 경제 성장 저해 등을 고려하면 기후 대응이 오히려 세계 경제에도 도움이 된다는 견해다.
오랫동안 누려 왔던 일상이 달라지는 점도 기후 대응에 나설 이유가 된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연구팀은 밴쿠버 지역 레스토랑들의 대표 메뉴가 연어에서 오징어로 바뀌고 있다고 발표했다. 뉴스위크는 4일(현지시간) 남극 주변에서 껍질에 종양이 발생한 물고기가 발견됐다고 전했다. 수온 상승에 따른 현상들이다.
이처럼 기후 대응이 오히려 경제적 부가가치를 키운다는 인식 전환, 기후변화로 인해 저위도 국가뿐 아니라 고위도 국가 역시 타격을 받는다는 새로운 정보들이 기후 대응에 임하는 자세를 변화시킬 동력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22-07-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