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공눈 비중 높아
안데스산맥 슬로프도 눈 부족
선수들 훈련장 찾기도 어려워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에 앞서 지난달 중국 옌칭의 국립알파인스키센터에서 인공눈을 만드는 제설기가 가동되고 있다.
옌칭 AFP 연합뉴스
옌칭 AFP 연합뉴스
선수들은 자연눈과 판이한 인공눈의 설질에 적응하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연눈은 얼음 10%에 공기 90% 비중을 띠는데, 인공눈은 얼음 비중이 30%로 높아져 좀더 단단하다. 그래서 2000년대까지만 해도 동계올림픽 개최지들은 자연눈을 퍼서 나르는 방식으로 개최지의 눈 부족량을 채우기도 했다.
그럼에도 사상 첫 인공눈 경기장에 적응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자연눈 경기장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국가 차원이 아닌 전지구적 문제라는 공감대 때문이다. 그나마 동계올림픽 정도 되니까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인공눈 경기장을 만들지, 다른 국제대회였다면 ‘인공눈 대 자연눈’이 아니라 ‘자연눈 대 경기 포기’란 선택지를 두고 고민해야 하는 실상 또한 반영돼 있다. AP는 지난해 11월 미국 몬태나주 웨스트 옐로스톤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랑데부 크로스 컨트리 스키 페스티벌이 32년 만에 처음으로 눈이 부족해 취소됐다고 전했다.
곳곳의 적설량과 만년설을 줄이는 겨울철 기후변화는 동계 스포츠 선수들의 연습 기회를 제약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남반구의 만년설을 무기 삼아 유럽 선수들의 전지훈련장으로 각광받던 칠레 안데스산맥의 슬로프들은 2010년대 중반부터 적설량 부족을 호소하며 제설기를 사들였다.
네덜란드를 빙상 강국으로 만든 원동력인 ‘200㎞ 운하 스케이팅 대회’는 1997년 1월을 마지막으로 운하가 얼지 않아 열리지 못하고 있다. 대신 요즘 네덜란드인들은 제방 주변 침수에 대비해 옷을 입고 수영하는 생존수영을 배운다.
2022-02-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