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 선수들, 이제 인공눈 적응이 ‘실력’

동계올림픽 선수들, 이제 인공눈 적응이 ‘실력’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2-02-15 19:36
수정 2022-02-16 0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후변화로 인공눈 비중 높아
안데스산맥 슬로프도 눈 부족
선수들 훈련장 찾기도 어려워

이미지 확대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에 앞서 지난달 중국 옌칭의 국립알파인스키센터에서 인공눈을 만드는 제설기가 가동되고 있다. 옌칭 AFP 연합뉴스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에 앞서 지난달 중국 옌칭의 국립알파인스키센터에서 인공눈을 만드는 제설기가 가동되고 있다.
옌칭 AFP 연합뉴스
2014년 러시아 소치동계올림픽에선 80%, 2018년 대한민국 평창동계올림픽에선 90%였던 인공눈 비중이 중국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선 100%가 됐다. 전통적으로 길고 추운 겨울로 유명한 도시들이 동계올림픽에 도전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와는 다른 기후 속에서 겨울축제를 개최하는 것이다. 캐나다 워털루대는 전 세계 탄소배출량이 지금 추세대로 2050년까지 지속된다면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 21곳 가운데 17곳이 개최지로서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라는 내용의 연구 보고서를 지난달 발표했다고 더힐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선수들은 자연눈과 판이한 인공눈의 설질에 적응하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연눈은 얼음 10%에 공기 90% 비중을 띠는데, 인공눈은 얼음 비중이 30%로 높아져 좀더 단단하다. 그래서 2000년대까지만 해도 동계올림픽 개최지들은 자연눈을 퍼서 나르는 방식으로 개최지의 눈 부족량을 채우기도 했다.

그럼에도 사상 첫 인공눈 경기장에 적응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자연눈 경기장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국가 차원이 아닌 전지구적 문제라는 공감대 때문이다. 그나마 동계올림픽 정도 되니까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인공눈 경기장을 만들지, 다른 국제대회였다면 ‘인공눈 대 자연눈’이 아니라 ‘자연눈 대 경기 포기’란 선택지를 두고 고민해야 하는 실상 또한 반영돼 있다. AP는 지난해 11월 미국 몬태나주 웨스트 옐로스톤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랑데부 크로스 컨트리 스키 페스티벌이 32년 만에 처음으로 눈이 부족해 취소됐다고 전했다.

곳곳의 적설량과 만년설을 줄이는 겨울철 기후변화는 동계 스포츠 선수들의 연습 기회를 제약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남반구의 만년설을 무기 삼아 유럽 선수들의 전지훈련장으로 각광받던 칠레 안데스산맥의 슬로프들은 2010년대 중반부터 적설량 부족을 호소하며 제설기를 사들였다.

네덜란드를 빙상 강국으로 만든 원동력인 ‘200㎞ 운하 스케이팅 대회’는 1997년 1월을 마지막으로 운하가 얼지 않아 열리지 못하고 있다. 대신 요즘 네덜란드인들은 제방 주변 침수에 대비해 옷을 입고 수영하는 생존수영을 배운다.

2022-02-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