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ADHD 아동 새 학기 자포자기 않도록 교사와 부모가 함께 도와야”[마음 성적표 F-지금 당장 아이를 구하라]

[단독]“ADHD 아동 새 학기 자포자기 않도록 교사와 부모가 함께 도와야”[마음 성적표 F-지금 당장 아이를 구하라]

이은주 기자
입력 2024-03-02 12:43
수정 2024-03-02 1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붕년 교수의 ‘양육의 기술’②

아동이 과제 벗어났을 때는 ‘선택적 무시’
아동이 과제 수행했을 때는 ‘선택적 관심’
청각적 수업자료보다 시각적 자료 효과적
새 학기를 앞두고 학교에서는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충동적이고 주의력이 부족한 특성 때문에 교사나 친구들은 ADHD 아동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기 쉽다. 때문에 교사와 학급 친구들이 ADHD의 특성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ADHD 아동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ADHD 전문가인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2일 “ADHD 아동을 변화시키려면 선택적 관심과 선택적 무시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것은 아동이 과제를 벗어나면 무시하고, 과제를 수행할 때 관심을 보이는 적극적인 방법이다. 김교수는 “이러한 적극적인 방법을 사용하면 ADHD 아동은 칭찬을 받기 위해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가 지난달 15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ADHD의 특성과 ADHD 아동을 대하는 적절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한지은 기자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가 지난달 15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ADHD의 특성과 ADHD 아동을 대하는 적절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한지은 기자
보통 ADHD 아동은 자신에 맞춰 진행되는 과제를 더 쉽게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긴 시간에 걸쳐 한번에 수행되는 과제보다 짧게 여러 번 나눠 수행할 수 있는 과제가 더 효과적이다. 김 교수는 “교사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의 시간과 빈도를 확인해 빈도가 줄어들 때 마다 긍정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려주는 것이 좋다”면서 “수업을 진행할 때 목소리나 어조에 신경을 쓰고 청각적 자료보다 시각적인 자료가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공부 양이 아니라 목표 위주 계획
실수·숙제노트, 진행보고서 활용”
ADHD 아동이라도 개개인의 양상이 모두 다르므로 교사가 학습 유형을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 교수는 “벌이나 간섭보다 칭찬이나 관심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이해심을 가지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공부의 양이 아니라 목표 위주로 계획을 짜고 실수노트, 숙제노트, 일일 또는 주간 진행상황 보고서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ADHD 아동의 또래 관계는 어떻게 해야할까. ADHD 아동은 주변 아이들에게 심하게 간섭하고 규칙을 어기고 지나치게 충동적이고 솔직한 성향으로 인해 또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 ADHD 아동의 사회성을 길러주기 위해 부모들이 직접 학교 생활에 개입할 수 없으므로 가정에서 아동이 적절한 사회기술을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아동의 사회성 형성에 도움이 된다.

김 교수는 “아이가 사회 기술에 대한 행동 계획표를 만들어 실천하도록 하고, 다른 아이들과 놀 때 행동계획표에서 정한 행동을 실천하는지 관찰해야 한다”면서 “마음에 드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할수 있도록 해주고 아이의 행동이 과격해저기나 목소리가 커지면 잠시 놀이를 멈추고 간식 시간을 갖거나 놀이 장소를 옮기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담임 교사와 솔직하게 소통해야
…학교·가정 연결된 보상 효과적”
또한 ADHD 아동이 본인의 행동을 자각하지 못하므로 아동의 놀이를 비디오 등으로 촬영해 모니터링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특히 부모의 공격적인 행동을 보고 배우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이 모두 ADHD 아동 앞에서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우주소년단, 교회모임, YMCA 등 또래 집단을 위해 조직화된 모임에 참여시키는 것도 좋다. ADHD 아동은 대그룹 보다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적응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협조적 활동과 같은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ADHD 아동은 자포자기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작은 역할에도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가능하면 움직임이 많은 역할을 주도록 하고, 교사와 부모가 미리 의논하여 소그룹 내에서 아이에게 적합한 과제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경쟁적인 활동은 정서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좌절할 수 있으므로 경쟁적인 것보다 비경쟁적인 것이 좋다.

학교는 가정보다 더 높은 수준의 사회성을 요구하는 곳이다. 김 교수는 “담임 선생님과 아동에 대해 솔직하게 얘기하도록 하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보상프로그램이 있다면 학교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면서 “학급 내에서 지위를 가진 아동은 다른 아동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아동이 잘 해낼 수 있는 어떤 역할을 맡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