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붕년 교수의 ‘양육의 기술’①
ADHD아동 자존감 쉽게 낮아져함께 놀이하면서 칭찬·격려 표현
질문·지시 안 하고 행동 관찰해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을 보이는 아이를 가정에서는 어떻게 돌봐야 할까.
국내 ADHD 전문가로 유명한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자녀의 눈을 마주 보며 지시하고, 아동의 행동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녀가 ADHD가 아니더라도 평소 눈으로는 스마트폰을 보면서 아이의 뒤통수를 향해 지시하기 일쑤인 부모라면 새겨들어야 할 ‘양육의 기술’이다.
김 교수는 28일 “부모가 조그만 일이라도 아이가 잘할 때 관심을 갖고 격려를 해 준다면 긍정적인 행동이 늘어난다”면서 “아이는 스스로 성취할 수 있는 것을 많이 해볼수록 더 낙천적이 되고 자신감을 느끼기 쉽다”고 말했다. 때문에 부모가 아이와 대화를 많이 나누고 가장 잘하는 것과 가장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칭찬을 하고 바로 비판을 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 중 하나”라면서 “이러한 방법은 긍정적인 행동에 대한 관심을 줄이게 된다”고 덧붙였다.
ADHD 아동은 특성상 지적을 많이 받아 자존감이 낮아지기 쉽다. 자존감을 회복하고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생각만을 따르게 하기보다 아동의 감정과 사고를 존중해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김 교수는 아이와 함께하는 ‘놀이시간’을 제안했다. 하루 15~20분 정도 아동의 다양한 행동을 관찰하고 어떤 질문이나 지시도 하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벌의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다. 김 교수는 “ADHD 아동이 지능이 낮거나 몰라서 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잔소리는 상황을 악화시킨다”면서 “만약 벌을 줘야 하는 상황이라면 기준이 명확해야 하고 벌받는 동안에도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칭찬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ADHD 아동은 자신의 요구에 맞게 환경이 조직화되면 자기 관리 능력이 점차 좋아진다. 김 교수는 “아이가 스스로 방을 정리하고 직접 정한 하루 일과대로 생활하는 습관을 가지게 된다면 자신감과 경쟁력이 점차 커지고 자존감도 높아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QR코드를 통해 ADHD 전문가 김붕년 교수의 설명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02-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