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0만년 전 지구를 걸어 다녔던 왕도마뱀의 조상에게 4개의 눈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번에 연구된 화석은 1871년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것으로 현존하는 왕도마뱀의 친척뻘이다. 발견 당시 ‘사니와 엔시던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최근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젠켄베르크연구소 는 미국 와이오밍의 한 박물관에 보관돼 있던 고대 왕도마뱀의 화석을 정밀 분석한 결과 해당 도마뱀의 머리 골격에서 ‘제3의 눈’과 ‘제4의 눈’ 흔적이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4900만년 전 지구를 걸어 다닌 육상 왕도마뱀은 총 4개의 눈을 가진 ‘네눈박이’였다는 것.
연구진은 머리 골격에서 찾아낸 또 다른 눈 한 쌍이 일종의 생체시계 및 내부 나침반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분의 두 눈은 낮과 밤 등 시간 및 방향을 인지하는 데 도움을 줬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총 4개의 눈을 가진 유악류(有顎類·턱이 있는 척추동물)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일반적으로 유악류 동물은 두 눈 외에 뇌에 있는 기관인 솔방울샘이 생체시계 역할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는 고대 유악류 생물들이 제3의 눈, 제4의 눈을 가졌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현존하는 척추동물의 눈은 일반적으로 2개이며, 턱이 없는 칠성장어만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4개의 눈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이끈 크리스터 스미스 박사는 “CT 스캐닝 결과 4개의 눈을 가진 고대 왕도마뱀의 머리는 솔방울처럼 생긴 일종의 광센서와 같은 구조로 이뤄진 것을 확인했다”면서 “이는 동물의 24시간 생체시간 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여전히 이러한 신체 기관의 진화 및 기능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약 150년간 박물관 자료실에 보관돼 있던 화석을 재발견했다는 점에서도 학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4월 2일자에 게재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4개의 눈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4900만년 전 고대 왕도마뱀 상상도.
젠켄베르크연구소
젠켄베르크연구소
연구진은 머리 골격에서 찾아낸 또 다른 눈 한 쌍이 일종의 생체시계 및 내부 나침반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분의 두 눈은 낮과 밤 등 시간 및 방향을 인지하는 데 도움을 줬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총 4개의 눈을 가진 유악류(有顎類·턱이 있는 척추동물)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일반적으로 유악류 동물은 두 눈 외에 뇌에 있는 기관인 솔방울샘이 생체시계 역할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는 고대 유악류 생물들이 제3의 눈, 제4의 눈을 가졌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현존하는 척추동물의 눈은 일반적으로 2개이며, 턱이 없는 칠성장어만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4개의 눈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이끈 크리스터 스미스 박사는 “CT 스캐닝 결과 4개의 눈을 가진 고대 왕도마뱀의 머리는 솔방울처럼 생긴 일종의 광센서와 같은 구조로 이뤄진 것을 확인했다”면서 “이는 동물의 24시간 생체시간 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여전히 이러한 신체 기관의 진화 및 기능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약 150년간 박물관 자료실에 보관돼 있던 화석을 재발견했다는 점에서도 학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4월 2일자에 게재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2018-04-0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