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지구촌 소사(小史): 인물 10걸 ❺2012.10.24 세계 소아마비의 날 지정 주역 조너선 소크
미국에서 유일무이한 4선 대통령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FDR·1882~1945·재임 1933~1945) 전 대통령은 하반신 마비로 휠체어 신세를 지는 어려움 속에서도 나라를 잘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 역사상 최대의 경제 공황인 대공황과 인류사를 통틀어 최대 규모의 전쟁으로 일컬어지는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두 차례의 국난을 모두 극복해 미국을 현재의 세계 초강대국 반열에 올려놓았다.
FDR은 1921년 8월 캐나다 캄포벨로 별장에서 휴양 중 찬물에서 수영하다가 다치면서 39세에 소아마비에 걸렸지만 꾸준한 재활 훈련 끝에 어느 정도 걸을 정도로 좋아졌다.
소아마비는 폴리오바이러스에 의한 신경계 감염으로 발생하며 척수성 소아마비의 형태로 발병한다. 5세 이하의 아이가 걸리는 경향으로 병명에 소아(infantile)가 들어가지만 FDR처럼 성인일 때 걸리는 경우도 있다.
1950년대만 해도 소아마비는 무서운 질환이었다. “원자폭탄을 제외하고도, 미국은 소아마비에 떨고 있다”는 말이 나돌 정도였다. 1952년의 경우 5만 8000여건이 발생했고 3145명이 목숨을 잃었다.
소아마비 백신 개발이 매우 절실했다. 피츠버그의과대학 연구실에 근무하던 의사이자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의학자인 조너선 소크(1914~1995)는 국립재단 지원에 힘입어 1948년 시작했던 백신 개발을 마쳤다. 하루 16시간씩 휴일도 없이 개발에 몰입했던 터였다. 1953년 11월 최초 임상시험 대상자도 바로 소크 본인이었다.
1995년 4월 12일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강력하다는 것이 세상에 공표됐다.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사망 10주기인 이날 라디오로 송출된 소아마비 백신 발표를 접한 미국인들은 환호를 보냈다. 당시 “미국의 모든 사람들이 소크의 이름을 알고 있다”는 농담 아닌 농담이 돌 정도였다.
소크는 TV 인터뷰에서 유명한 말을 남기게 된다. “백신 특허권을 누가 갖느냐”는 질문에 “아마도 그냥 평법한 사람들이겠죠. 특허권 그런 건 없습니다. 태양에도 특허를 낼 텐가요”라고 되물었다. 결국 제약회사들의 제안을 단칼에 거절하고 백신을 무료로 풀었다. 그 결과 백신은 씬값에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갔고, 이로 인해 혜택을 보는 사람들도 엄청나게 증가했다. 소크 덕분에 인류는 소아마비의 공포에서 사실상 벗어났다.
발표 직후부터 그는 전국적인 존경을 받으며 백악관에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에게 ‘인류의 은인’으로 기리는 미국 대통령 자유훈장을, 의회로부터는 명예 황금훈장을 받았다. 모두 미국 최고의 영예다.
미국의 경우, 백신 배포 2년 만인 1957년 소아마비 발병이 이전 대비 90% 감소했다. 1979년엔 공식적으로 퇴치 판정이 내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따져도 오늘날 소아마비 발병건수는 99%나 줄어들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선 탈레반이 소아마비 백신을 기독교에서 퍼뜨리는 화학무기라고 선전하며 한때 이용을 금지해 ‘유이하게’ 토착성 바이러스로 인한 발병이 지속됐다. 미국 중앙정보부(CIA)가 의료인을 가장시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한다면서 주닌들을 대상으로 DNA를 채취하며 오사마 빈 라덴(1957~2011)의 DNA와 대조해 포위망을 좁히는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이 밝혀지자 테러범은 물론 주민들도 백신을 불신하게 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 소크 박사의 생일인 10월 24일을 세계 소아마비의 날로 정했다.
꿈나무 걱정
아이에게 소아마비 백신을 직접 접종하고 있는 조너선 소크.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미국 역사상 최대의 경제 공황인 대공황과 인류사를 통틀어 최대 규모의 전쟁으로 일컬어지는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두 차례의 국난을 모두 극복해 미국을 현재의 세계 초강대국 반열에 올려놓았다.
FDR은 1921년 8월 캐나다 캄포벨로 별장에서 휴양 중 찬물에서 수영하다가 다치면서 39세에 소아마비에 걸렸지만 꾸준한 재활 훈련 끝에 어느 정도 걸을 정도로 좋아졌다.
소아마비는 폴리오바이러스에 의한 신경계 감염으로 발생하며 척수성 소아마비의 형태로 발병한다. 5세 이하의 아이가 걸리는 경향으로 병명에 소아(infantile)가 들어가지만 FDR처럼 성인일 때 걸리는 경우도 있다.
1950년대만 해도 소아마비는 무서운 질환이었다. “원자폭탄을 제외하고도, 미국은 소아마비에 떨고 있다”는 말이 나돌 정도였다. 1952년의 경우 5만 8000여건이 발생했고 3145명이 목숨을 잃었다.
소아마비 백신 개발이 매우 절실했다. 피츠버그의과대학 연구실에 근무하던 의사이자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의학자인 조너선 소크(1914~1995)는 국립재단 지원에 힘입어 1948년 시작했던 백신 개발을 마쳤다. 하루 16시간씩 휴일도 없이 개발에 몰입했던 터였다. 1953년 11월 최초 임상시험 대상자도 바로 소크 본인이었다.
1995년 4월 12일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강력하다는 것이 세상에 공표됐다.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사망 10주기인 이날 라디오로 송출된 소아마비 백신 발표를 접한 미국인들은 환호를 보냈다. 당시 “미국의 모든 사람들이 소크의 이름을 알고 있다”는 농담 아닌 농담이 돌 정도였다.
소크는 TV 인터뷰에서 유명한 말을 남기게 된다. “백신 특허권을 누가 갖느냐”는 질문에 “아마도 그냥 평법한 사람들이겠죠. 특허권 그런 건 없습니다. 태양에도 특허를 낼 텐가요”라고 되물었다. 결국 제약회사들의 제안을 단칼에 거절하고 백신을 무료로 풀었다. 그 결과 백신은 씬값에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갔고, 이로 인해 혜택을 보는 사람들도 엄청나게 증가했다. 소크 덕분에 인류는 소아마비의 공포에서 사실상 벗어났다.
발표 직후부터 그는 전국적인 존경을 받으며 백악관에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에게 ‘인류의 은인’으로 기리는 미국 대통령 자유훈장을, 의회로부터는 명예 황금훈장을 받았다. 모두 미국 최고의 영예다.
미국의 경우, 백신 배포 2년 만인 1957년 소아마비 발병이 이전 대비 90% 감소했다. 1979년엔 공식적으로 퇴치 판정이 내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따져도 오늘날 소아마비 발병건수는 99%나 줄어들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선 탈레반이 소아마비 백신을 기독교에서 퍼뜨리는 화학무기라고 선전하며 한때 이용을 금지해 ‘유이하게’ 토착성 바이러스로 인한 발병이 지속됐다. 미국 중앙정보부(CIA)가 의료인을 가장시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한다면서 주닌들을 대상으로 DNA를 채취하며 오사마 빈 라덴(1957~2011)의 DNA와 대조해 포위망을 좁히는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이 밝혀지자 테러범은 물론 주민들도 백신을 불신하게 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 소크 박사의 생일인 10월 24일을 세계 소아마비의 날로 정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