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지구촌 소사(小史): 사건 10걸 ❹/1969.10.15 세계 휩쓴 반전 시위
“나는 전쟁을 반대해 행진에 참여했습니다. 의회 민주주의에 뿌리를 둔 어떤 정부도 시민들이 반대할 수 있는 전쟁, 심지어 잘못일 수도 있는 전쟁에서 싸우며 죽이고 죽게 만드는 힘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1969년 12월 당시 23세이던 빌 클린턴(77) 전 미국 대통령은 아칸소대학교 예비역장교훈련단(ROTC) 책임자에게 이런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은 “옥스포드에 있는 내 친구 두 명은 양심적 병역 거부자”라며 “나는 그들 중 1명을 위한 탄원서를 징집위원회에 제출했는데 그 어떤 편지보다 더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전쟁을 둘러싸고 미국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반대운동이 뜨겁던 때였다. 그는 군부대에 징집돼 그토록 경멸하는 전쟁에 참가할 가능성에 직면했다. 그래서 아칸소대 법학대학원에 진학해 ROTC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며 징병을 연기할 수 있었다.
그런데 클린턴 전 대통령은 대신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로즈 장학생으로 2년 동안 공부하게 됐다. 결국엔 새로운 제도 덕분에 추첨을 통해 징집 명단에서 빠졌다.
앞서 10월 15일은 ‘반전 시위 행동통일의 날’로 약속돼 있던 터였다. 영국 런던의 미국대사관 앞에서 열린 집회를 옥스퍼드대에 유학 중이던 클린턴 전 대통령이 주도했다.
미국 워싱턴DC에선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모라토리엄 시위가 대대적으로 펼쳐졌다. 25만여명의 군중은 거리를 누비면서 피켓을 흔들며 당당하게 구호를 외쳤다. 뉴욕에서도 같은 취지의 시위가 열렸는데, 존 린지(1921~2000) 뉴욕시장이 시위대를 지지하는 연설을 하고 시청에 반기(半旗)를 게양해 높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린지 시장은 당시 공화당 소속이었지만 유달리 진보적인 정책을 꾀하다가 재임 중이던 1971년엔 결국 민주당으로 옮긴다.
베트남 전선으로부터 탈주병을 숨겨주거나 국경을 초월해 보호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미 국방부는 전쟁의 전모를 조사해 47권이나 되는 방대한 국방성 비밀보고서 ‘펜타곤 페이퍼’로 총정리했는데 뉴욕타임스(NYT)에 게재돼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미국의 베트남 정책에 숨은 허상을 고스란히 드러냈으며 반전운동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반전운동을 지탱해 준 논리로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법의 구속에서 벗어난 대외정책을 수행하는 것보다도 국제법규를 준수한 정책을 펴는 쪽이 국가이익이 된다는 사고방식이다.
또 둘째론 미국의 정책이 잘못됐고 국제법에 위배된다면 곧바로 지적하는 게 시민으로서의 의무이며, 정부도 불법행동을 벌일 땐 반대하는 게 애국하는 길이라는 신념이다.
마지막으로, 시급히 전쟁 종식에 방도를 찾아내야 하는데 정부 스스로의 정책 수정을 기대할 수 없으면 국민의 여론을 환기시켜야 한다는 판단이다.
1955년 발발한 남북 베트남 사이의 내전에 냉전시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진영 대리전 양상을 띠었던 전쟁은 1973년 1월 중대한 고비를 맞는다. 프랑스 파리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돼 그해 3월 말 미군이 완전 철수했고,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북베트남이 통일을 이뤄 이듬해 사회주의공화국을 선포했다.
전쟁엔 18개국이 직접 참여했다. 16개국은 물자 등을 지원했다. 무엇보다 민간인 최소 26만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남북 베트남에서 최소한 70만명과 미군 5만 8300여명을 포함해 외국군 6만 5400여명도 전사했다. 우리나라 군인 5000여명도 희생됐다. 부상자도 전체를 통틀어 200만명을 웃돌았다.
‘들끓는 워싱턴’
1969년 10월 1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반전 시위엔 25만여명이 참여했다. 서울신문 DB
1969년 12월 당시 23세이던 빌 클린턴(77) 전 미국 대통령은 아칸소대학교 예비역장교훈련단(ROTC) 책임자에게 이런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은 “옥스포드에 있는 내 친구 두 명은 양심적 병역 거부자”라며 “나는 그들 중 1명을 위한 탄원서를 징집위원회에 제출했는데 그 어떤 편지보다 더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전쟁을 둘러싸고 미국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반대운동이 뜨겁던 때였다. 그는 군부대에 징집돼 그토록 경멸하는 전쟁에 참가할 가능성에 직면했다. 그래서 아칸소대 법학대학원에 진학해 ROTC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며 징병을 연기할 수 있었다.
그런데 클린턴 전 대통령은 대신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로즈 장학생으로 2년 동안 공부하게 됐다. 결국엔 새로운 제도 덕분에 추첨을 통해 징집 명단에서 빠졌다.
앞서 10월 15일은 ‘반전 시위 행동통일의 날’로 약속돼 있던 터였다. 영국 런던의 미국대사관 앞에서 열린 집회를 옥스퍼드대에 유학 중이던 클린턴 전 대통령이 주도했다.
미국 워싱턴DC에선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모라토리엄 시위가 대대적으로 펼쳐졌다. 25만여명의 군중은 거리를 누비면서 피켓을 흔들며 당당하게 구호를 외쳤다. 뉴욕에서도 같은 취지의 시위가 열렸는데, 존 린지(1921~2000) 뉴욕시장이 시위대를 지지하는 연설을 하고 시청에 반기(半旗)를 게양해 높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린지 시장은 당시 공화당 소속이었지만 유달리 진보적인 정책을 꾀하다가 재임 중이던 1971년엔 결국 민주당으로 옮긴다.
베트남 전선으로부터 탈주병을 숨겨주거나 국경을 초월해 보호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미 국방부는 전쟁의 전모를 조사해 47권이나 되는 방대한 국방성 비밀보고서 ‘펜타곤 페이퍼’로 총정리했는데 뉴욕타임스(NYT)에 게재돼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미국의 베트남 정책에 숨은 허상을 고스란히 드러냈으며 반전운동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반전운동을 지탱해 준 논리로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법의 구속에서 벗어난 대외정책을 수행하는 것보다도 국제법규를 준수한 정책을 펴는 쪽이 국가이익이 된다는 사고방식이다.
또 둘째론 미국의 정책이 잘못됐고 국제법에 위배된다면 곧바로 지적하는 게 시민으로서의 의무이며, 정부도 불법행동을 벌일 땐 반대하는 게 애국하는 길이라는 신념이다.
마지막으로, 시급히 전쟁 종식에 방도를 찾아내야 하는데 정부 스스로의 정책 수정을 기대할 수 없으면 국민의 여론을 환기시켜야 한다는 판단이다.
1955년 발발한 남북 베트남 사이의 내전에 냉전시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진영 대리전 양상을 띠었던 전쟁은 1973년 1월 중대한 고비를 맞는다. 프랑스 파리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돼 그해 3월 말 미군이 완전 철수했고,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북베트남이 통일을 이뤄 이듬해 사회주의공화국을 선포했다.
전쟁엔 18개국이 직접 참여했다. 16개국은 물자 등을 지원했다. 무엇보다 민간인 최소 26만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남북 베트남에서 최소한 70만명과 미군 5만 8300여명을 포함해 외국군 6만 5400여명도 전사했다. 우리나라 군인 5000여명도 희생됐다. 부상자도 전체를 통틀어 200만명을 웃돌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