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서울미래컨퍼런스] “기술 인프라 도입, 도시·지방 통합관점서 접근해야”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 “기술 인프라 도입, 도시·지방 통합관점서 접근해야”

조용철 기자
입력 2018-10-18 22:18
수정 2018-10-18 2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레크스텐 전 오슬로 스마트시티팀장

특정 도시 국한하면 디지털 격차 벌어져
정부, 신생 스타트업 기업과 적극 소통을


“스마트시티를 위한 기술 인프라스트럭처 도입을 특정 도시에만 국한하면 디지털 격차를 불러올 수밖에 없습니다. 배경과 무관하게 모든 시민이 동일한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국가가 통합적인 접근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실리에 바레크스텐 전 오슬로 스마트시티 팀장은 1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람이 중심이 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강조했다.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등 정보기술(IT)을 앞세운 스마트시티가 단순히 도시의 첨단화를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포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재해석돼야 한다는 것이다.

바레크스텐은 수도인 오슬로뿐 아니라 노르웨이 전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스마트시티 도입 상황을 생생히 전했다. 바레크스텐은 “주요 운송 수단이 된 전기차는 대중교통이 부족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도 비용이 더 많이 드는 지방에서 오히려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면서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5G 네트워크, 광케이블 등 동일한 기술 인프라를 갖춘다면 국가 전역의 스마트시티화는 시간문제”라고 설명했다.

바레크스텐은 또 스마트시티의 최종 목표가 시민들의 ‘더 나은 삶’에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스마트시티가 단지 한 도시의 관리 비용을 낮추거나 IT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되는 것은 곤란하다”며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시민들의 행복을 배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르웨이 오슬로가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스마트시티로 변모한 비결로는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를 꼽았다. 바레크스텐은 “노르웨이가 1969년 석유 생산을 했는데, 거기서 거둔 막대한 수입을 일찌감치 스마트시티 투자에 쏟았다”며 “오슬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중교통시스템, 사회안전시스템, 보건시스템을 이미 갖췄다”고 소개했다.

끝으로 바레크스텐은 스마트시티를 구상하는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서는 신생 스타트업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당부했다. 바레크스텐은 “혁신 스타트업과 기성 대기업의 디지털 격차도 이미 크게 벌어진 상황에서 정부와 민간 사이 격차는 어느 국가에서나 고민거리”라면서 “한국도 정책 의사결정자들과 신생 기업 간의 소통 창구가 마련돼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10-1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