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스마트 허브 도약하려면
亞투자벨트 구축 ‘환동해시대’로창업생태 만들어 강소기업 육성
남부권 1시간대 생활 실현 필요
부산형 복지 네트워크 만들어야
부산시는 2030년까지 사람과 기술을 연결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 세계30위권의 글로벌 도시로 성장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람과 기기, 사물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oT)기반의 새로운 경제플랫폼을 구축하고 부산과 울산, 경남(부·을·경)이 하나로 연결되는 새로운 경제공동체를 구성해야 한다. 부산시와 민간, 학계를 연계한 창업클러스터 및 아시아 투자벨트를 구축해 ‘환동해 시대’도 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 대응할 수있는 부산 대도시권 경제공동체 협의기구도 설립해야만 한다.
세부적으로는 사물인터넷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사상, 해운대, 영도에 3대 스마트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혁신적인 창업생태계 조성도 필요하다. 창업플랫폼을 바탕으로 세계 유수의 기업과 견줄 수 있는 100대 강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스마트시티의 핵심은 정보통신기술(ICT)이 아닌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시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ICT를 활용해 최적의 솔루션을 찾는 게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전문가는 조언한다.
이와 함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부산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변화를 선제적으로 주도하는 문화를 창조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문화는 한 사회의 수준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변화를 이끌어 내는 ‘바람’과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는 그 자체로서 고부가가치를 이끌어 내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한 예로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시작된 공유경제를 들 수 있다. 소유하지 않고 공유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하는 시대는 믄화의 변화에서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부산시는 숙박과 교통에서 시작하는 공유경제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복합광역교통망을 구축해 1시간대 생활 실현으로 남부권의 중추도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또 동남권 연구개발을 공유하고 협업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부산시의 주력산업인 기계, 섬유, 신발산업에 ICT를 융합하고 로봇, 바이오, 디지털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세계유수의 기업과 견줄 수 있는 강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이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혁신적인 ICT뿐만 아니라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해 도시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또 시민의 필요와 연결된 새로운 부산형 복지 네트워크 조성도 필요하다.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사업과 소득, 고용, 돌봄, 교육, 주거, 건강을 고려한 ‘부산 복지 기준선’ 등을 수립해야 한다.
서병수 시장은 “부산이 앞으로 스마트시티 선도도시로서 개발된 서비스 모델을 국내 다른 도시로 확산시켜 해외수출과 표준화로 글로벌 스마트시티 산업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외 기업들과 폭넓게 협력해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고 IoT 스타트업을 적극적으로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6-11-22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