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2부] “모든 제품 전수검사… 최고 품질로 글로벌 경쟁”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2부] “모든 제품 전수검사… 최고 품질로 글로벌 경쟁”

입력 2013-10-07 00:00
수정 2013-10-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윤혁 전주공장장 인터뷰

“탄소산업은 융복합을 하기에 가장 쉬운 분야입니다. 소재의 활용성을 고려하면 융복합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방윤혁 효성 전주공장장
방윤혁 효성 전주공장장
지난 2일 전북 전주시 친환경복합산업단지에 위치한 효성 탄소섬유 공장에서 만난 방윤혁 공장장은 창조경제 틀에서의 탄소섬유 가치에 대해 묻자 이같이 힘주어 말했다. 그는 “창조경제의 뜻은 잘 모르지만 융복합을 통한 부가가치라는 측면에서 말하면 탄소섬유는 최고의 소재”라며 “소재가 부품 단계로 갈수록 이렇게 가치가 커지는 경우는 드물다.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너무나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개가 물어뜯어도 멀쩡한 탄소섬유 개밥그릇, 무거운 엉덩이에도 부서지지 않는 변기 뚜껑 등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에 탄소섬유가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방 공장장은 25년 동안 탄소섬유를 연구해 온 전문가다. 1990~2000년대 국내에서 탄소섬유가 각광받지 못할 때에도 꾸준히 이를 연구했고 박사 학위도 탄소섬유 연구로 받았다. 그는 2008년부터 전주공장 설립에 힘을 쏟았다. 그에게 전주공장은 효성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핵심 기지인 동시에 개인적인 오랜 노력이 결실을 맺는 공간이기도 한 셈이다.

방 공장장은 전주공장의 의미는 ‘국내 기업이 탄소섬유를 처음 대량 생산한다는 것 이상’이라고 말한다. 그는 “탄소섬유는 알려진 섬유 중 가장 만들기 어려운 소재로 우리 공장만 봐도 제품 하나 만드는 공정이 500m 길이에 달한다”며 “효성이 탄소섬유를 만들 수 있다는 건 다른 어떤 첨단 섬유도 만들 수 있다는 얘기”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특히 미국이나 일본이 30~40년 동안 해 온 것을 효성이 3~4년 만에 해낼 수 있었던 것은 그동안 축적된 섬유 관련 역량이 작용한 것”이라며 “평균 13%인 탄소산업의 성장률을 감안하면 향후 어떤 소재보다도 그룹에 이바지하는 기여도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의 공장 운영 제1원칙은 ‘품질 최우선주의’다. 여기에는 ‘품질이 못 미치는 소재는 절대 공장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조석래 회장의 경영 철학이 작용했다. 방 공장장은 “최고경영자가 품질이 곧 경쟁력이라고 말한다. 특히 탄소섬유는 피부로 느끼는 수준이 다르다”며 “일반 섬유는 품질이 떨어지면 옷의 질이 낮은 데서 끝나지만 탄소섬유는 고압 탱크, 항공기, 자동차, 건축물 등의 구조재로 쓰여 품질이 안전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효성 전주공장은 생산하는 모든 제품을 전수검사하는 방식으로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방 공장장은 2020년까지 품질·원가·영업·고객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전주공장을 세계 최고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는 “탄소산업은 곧 글로벌 경쟁을 해야지 국내 경쟁은 의미가 없다”며 “다들 우리 보고 탄소섬유는 못 한다, 못 하는데 하는 척한다고 했지만 이렇게 해내고야 말았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재료 중소업체들과 협력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전주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10-0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