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정말 야근하고 싶어요” 취준생에 워라밸은 꿈

[단독] “정말 야근하고 싶어요” 취준생에 워라밸은 꿈

입력 2016-12-16 18:00
수정 2016-12-16 1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워라밸 기업’이고 뭐고 취업 좀 하고 싶어요. 전 정말 야근을 하고 싶다니까요.”(20대 취업준비생 이모씨)

워라밸 기업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추세지만, 기본적인 고용안정성이나 충분한 취업 기회를 보장하지 못하는 게 실제 노동환경이다. 아직 직장을 찾지 못한 이들은 삶과 일의 균형은커녕 일자리만 있어도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취업준비생들이 워라밸 직업으로 여기는 공무원직은 100대1의 경쟁률을 뚫어야 하고, 정보통신 기업 역시 신입 사원보다 경력직을 선호한다. 실제 서울신문과 취업정보포털 사람인이 취업준비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어떤 기업에 취업을 준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41.5%가 ‘취업만 되면 어느 기업이나 상관없다’고 답했다. 온라인에 ‘워라밸이 좋은 기업이 어디냐’고 물으면 ‘배부른 고민’이라는 댓글이 주로 달리는 이유다.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대학원생 유모(28·여)씨는 “최근 몇 년간 한 명도 선발하지 않은 지역도 있었던 걸로 알고 있다”며 “교사가 최고의 워라밸 직업이라고 해서 회사를 그만두고 임용시험 준비를 하는데 시험을 통과할 수 있을지 불안하다”고 말했다. 김모(28)씨는 “지난해 말부터 마케팅 직군에 10군데 정도 골라 접수했는데 올해는 취업 공고만 뜨면 무조건 서류를 넣고 있다”며 “워라밸 기업은 직장인의 얘기일 뿐”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실업률(15~29세)이 8.2%로 2003년 11월(8.2%)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았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12-17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