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에 문학관… 자연 벗삼아 겸손히 살지”
고향은 어머니 품과 같다고 했습니다. 태어나서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기 때문이겠지요. 그래서 고향은 말만 들어도 정겹고 가슴 뭉클하게 다가옵니다. 청운의 꿈을 안고 고향을 떠나 도시에서 산전수전을 겪으며 살다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모습 또한 아름답겠지요. 신년기획으로 매주 수요일자에 ‘명사의 귀향별곡’을 마련했습니다. 첫 번째 순서로 고향인 제천에서 지내고 있는 오탁번 시인을 만났습니다.영화 ‘박하사탕’의 명장면인 ‘나 다시 돌아갈래~’를 촬영한 곳으로 유명한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 오탁번(67·전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시인협회장이 30여년간 살았던 서울을 버리고 정착해 ‘제2의 인생’을 설계하고 있는 이곳은 그의 고향이다.
오탁번 시인이 고향인 충북 제천시 백운면에 문을 연 원서문학관에서 문학관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낙향해 자연과 벗 삼아 살으니 책에서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운다고 말했다.
고향의 아름다움에 반한 듯 오 시인은 고려대 교수로 재직하던 2003년 폐교된 모교 백운초등학교 애련분교를 매입해 원서문학관을 차렸다. 말 그대로 애련한 마을의 적막하고 조용한 작은 폐교에 마련된 문학관이다. 이때부터 그의 낙향 생활이 시작됐다. 그는 “‘먼 서쪽’을 의미하는 ‘원서’는 백운면의 조선시대 지명”이라면서 “‘제천에서 서쪽으로 가장 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했다.
“30여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와 고향의 옛 이름을 찾아준 셈이지.”
원서문학관에선 매월 마지막 토요일 제천·충주·단양·음성·영월지역 시인들이 모여 시를 낭송하고 월례회를 갖는다. 해마다 가을이면 전국에서 시인들이 모여 ‘시의 축제’도 연다. 축제 기간 중에는 각지에서 찾아온 사람들에게 제천지역 농산물을 홍보하기 위해 장터가 열린다. 김남조·신달자 시인 등 국내 유명 문인들이 모두 다녀갔다. 오 시인의 명성을 입증이라도 하듯 원서문학관은 문인들 사이에서 꽤 유명한 곳이 돼 버렸다. 오 시인이 고향을 찾은 것은 겸손한 삶을 살고 싶어서다.
“옛날 선비들은 한양에서 벼슬을 한 뒤 고향에 내려가 서당을 차리고 아이들을 가르치곤 했어. 율곡 선생도 그랬지. 그러나 요즘은 지식인들이 장관 같은 자리에 가고 싶어 안달인 것 같아.”
그는 그릇된 지식인들의 모습에 일침을 가한 뒤 “나이가 들면 겸손해하며 자연을 벗삼아 살고 싶어지는 게 인지상정 아닌가. 과거를 돌아보면서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찾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자연과 친구가 됐다. 길 건너 텃밭에서 옥수수와 고구마를 심어 뽑아 먹고, 앞마당에 작은 연못을 만들었다.
한때 그에게 고향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고향에서 찢어지는 가난을 경험하면서 한국전쟁까지 치렀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고향은 자신에게 겸손한 삶을 가르쳐줄 수 있는 ‘인생의 스승’ 같은 곳으로 변해 갔다.
그는 “원서문학관이 한국문학 발전에 작은 힘을 보탰으면 한다.”면서 “시인협회 일로 가끔 서울 나들이를 하지만 3월이면 임기가 끝나 고향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화려한 전원주택 대신 폐교의 허름한 사택을 꾸며 생활하고 있는 그는 분명 겸손한 삶을 실천하고 있었다.
글 사진 제천 남인우기자 niw7263@seoul.co.kr
2010-01-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