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에서 보니…
→서구 언론이 가장 많이 지적하는 게 인권 문제인데, 서구가 지나치게 엄격한 잣대를 대고 있는 건지, 아니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지.셰톈전 상하이외국어대 번역연구소장
-건국 이후 장기간 인권 문제를 소홀했었다는 점에서는 서구의 지적이 일리가 있다. 그러나 문화혁명 이후에는 중국의 지도자들도 인권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외국인들은 중국 사람들과 대화에 참여하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정치 문제나, 지도부를 비판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
→중국에 와서 느낀 점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정치에 대한 관심이 낮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와서 만난 대학생 대다수가 공산당에 가입했거나 가입할 의사가 있었다.
-1950~80년대에는 정치에 관심을 갖는 게 유행과도 같았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당원이 되려는 것도 꼭 정치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취업이 어려운 때다. 공산당이 되면 공무원 시험 볼 때, 조금이나마 유리하기 때문에 가입할 자격만 된다면 일단 준비하고 보는 것이다.
→일당독재에 대한 국민 정서는 어떠한가.
-중국인 특성상 평화롭고 안정적인 것을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다당제보다는 독재를 훨씬 편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타이완에서 의원들 싸우는 것을 보면 절대 이해를 못한다.
→권력이 한 곳에 집중되면 부패하기 마련인데.
-다당제도에서도 각 당이 서로 제대로 감독한다고 보장할 수 없다. 개인적으로 언론사 감독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중국의 언론사가 제대로 역할하고 있다고 보나. 일반 시민들도 인민일보 같은 매체는 특정 부분만 보도한다는 점을 다 알던데.
-인민일보는 나도 안 본다. 그러나 중국에는 인민일보만 있는 게 아니지 않나. 여기에 최근에는 인터넷 사용자들과 인터넷 언론이 부패 감시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도 인터넷 언론을 중시하고 있다.
→중국에서 여성 지위의 현 주소는.
-개혁·개방 이후 여성 인권이 많이 높아졌다. 하지만 학술적 혹은 문화적인 부분에서는 여성의 위치가 높아졌지만 정치·경제 분야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인터넷 통제를 중국인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
-정치에 관심 있으면 통제를 반대하고, ‘다 알고 싶다.’고 말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별로 신경쓰지 않을 것이다. 이 문제는 정치에 대한 관심 유무가 중요한 포인트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양면성이 있지만 여러 요소를 생각하면 이해가 가고, 중요한 것은 통제를 해도 관심이 있으면 어떻게든 알 수 있다.
→중국의 교육 문제에 대한 진단은.
-만족스럽지 않다. 기초교육, 고등교육 다 문제가 있다. 기초교육은 아시아권이 다 비슷한 것 같다. 중국도 주말이든 방학이든 휴가든 학원 다니느라 매우 바쁘다. 대학 교육의 경우 눈에 보이는 하드웨어적인 부분만 신경쓰고 인성 교육은 솔직히 부족하다.
→중국은 여전히 결혼 비용을 남성이 부담하고, 신부 측에 돈까지 주고 있다.
-이건 그냥 전통적인 습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여성을 우대한다든지 혹은 매매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그냥 전통을 따르는 것이다.
→중국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중국 ‘사람’들의 의식은 어떠한가.
-중국인들은 눈앞에 보이는 것만 쳐다본다. 과거도 미래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는 근본적으로 변화가 없다.
→중국인을 얘기하면서 소수민족 문제를 빠뜨릴 수 없다.
-중앙 정부는 안정을 원하고, 그래서 개혁·개방 이후 소수 민족 지역에 자본과 인력을 엄청나게 투자했다. 하지만 민족 정서라는 것은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민족문제를 다루는 정부 사람들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들끼리의 정서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글 사진 상하이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09-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