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디지털 소외에 더 서러운 노년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반포1동주민센터 서초구IT교육센터에서 AI 프로그램을 배우던 노인 수강생이 강사에게 질문하고 있다.
서초구 제공
서초구 제공
#일상 혁명… 무용지물 우려
재활용품 수거에도 AI 활용
용돈벌이마저도 ‘산 넘어 산’박순모(66)씨는 최근 분리배출을 하다 난감한 상황을 겪었다. “공원의 무인회수기에 버리면 용돈을 벌 수 있다”는 이웃 주민의 말에 재활용품을 잔뜩 들고 공원으로 향했다가 무기력하게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무인회수기는 페트병 등을 투입하면 AI가 자동으로 분류·수거해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기기였다. 화면을 누른 뒤 재활용품을 투입하고 포인트를 적립하면 됐지만, 아예 사용법을 몰랐던 박씨는 화면을 몇 번 눌러 보다 이내 발걸음을 돌렸다. 박씨는 “화면에는 AI가 재활용품을 분류한다는 말만 나온다. 돈 받는 방법은 도저히 알 수 없었다”며 “사용법을 몰랐던 나만 바보가 된 것 같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보면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고령층에서 급격히 낮아진다. 일반 국민의 컴퓨터와 스마트폰 활용 등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50대 이상은 69.9 정도 수준이었다. 50대 이상의 경우 10명 중 7명 정도가 평균적인 국민의 수준으로 컴퓨터·스마트폰을 활용한다는 의미다. 50대는 종합적인 수준이 92.1였지만, 60대는 75.5, 70대는 55.6으로 집계됐다.
#디지털정보화 수준 악화
스마트폰 활용도 60대부터 급락
저소득층일수록 접근성 떨어져특히 월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고령층은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41.9에 그쳤다. 평균적인 수준으로 디지털기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일 과기부에 노인 맞춤형 교육 실시와 디지털기기 개발·보급 지원, 아날로그 접근권 보장 등을 권고하기도 했다. 일상생활에서 키오스크 등 새로운 기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노인이 불편을 겪고 고립감과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인권위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지만, 디지털기기는 더욱 고도화·보편화될 전망”이라며 “국가기관은 이를 해소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AI 기술 발전 속도만큼 고령층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봤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AI는 키오스크나 스마트폰 등 기존 디지털기기와 다르게 고령층도 한번 접근해 배우기만 하면 이후 활용하기는 쉬운 편”이라며 “초기 교육이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고령층은 AI를 접할 기회가 흔치 않은 만큼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유기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고령층은 AI 기술 자체에 불편함을 느끼면서 고립된 채 생활하는 것을 택할 가능성이 있다”며 “AI를 배울 수 있는 사회적인 교육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했다.
# 모두 행복한 AI 전략은
적용 기기 늘어 활용법 절실
공기관·지자체 교육 적극 나서야정부도 손놓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지자체와 함께 고령층 대상 AI 교육 강좌를 속속 개설하고 있다. 진흥원은 또 올해 ‘제1차 디지털 성인문해능력 조사’를 통해 AI 소외계층 현황을 파악할 계획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AI 활용 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관련 실태조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02-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