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강원도 강릉 스테이 ‘호지’
오대산과 동해 사이 빛 잘 드는 곳
멀리서 보면 평범한 콘크리트 집
둥글고 길쭉하거나 팔각정 모양
가까이 보면 저마다 다른 존재감
측창·높은 천장… 내부 공간감 집중
펜션·호텔과는 다른 ‘힐링’ 입소문
밋밋한 비닐하우스 같은 ‘커뮤니티 창고’는 시멘트벽돌로 쌓아 만든 공간으로 아침 식사 장소, 음악을 들으며 커피를 마시는 공간으로 쓰인다.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방 두 개에 거실과 부엌을 가진 ‘주인집’은 세 개의 천창이 위로 삐져나와 있는 것 말고는 특별해 보이지 않는 디자인이다.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오대산과 동해의 사이, 산도 아니고 바다도 아닌, 특별한 것도 없는 시골 마을에 봄비가 내린다. 촉촉한 비를 맞으며 화사하게 피어난 분홍빛 복사꽃과 하얀 배꽃을 보며 마을에 접어들었다. 소문을 듣고 찾아왔지만 눈에 띄는 건물은 보이지 않고 회색빛 창고건물이나 비닐하우스, 정자 모양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들이 눈에 들어온다. 시골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익숙한 풍경인 듯 이질감이 없다. 한데 다가가서 보니 아니다. 다섯 채의 독립된 집은 저마다 범상치 않은 분위기로 각각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호지는 평범함과 특별함 사이에 있다.
통나무를 비스듬히 잘라 세워 놓은 모양의 ‘둥근 집’. 둥근 집은 천장에서부터 매달린 주방 후드가 천창의 빛을 반사하며 내부를 환하게 만든다.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호지를 디자인한 건축가 서재원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대표.
함혜리 제공
함혜리 제공
●뒷산 배경 삼아 집들의 역할극
세 채의 숙박동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팔각집’은 팔각형 모양의 조금 큰 원두막 혹은 팔각정의 느낌을 준다.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서 대표는 “처음 이곳을 방문했을 때 허리춤까지 자란 잡풀을 헤집고 가운데로 걸어 들어가 보니 도로에서부터 완만하게 가라앉은 땅이 아늑하게 주변을 끌어안고 있었다”며 “가냘픈 풀 위에 무겁고 딱딱한 콘크리트 구조의 집들이 살포시 떠 있는 느낌이면 좋을 것 같아 도로 면보다 낮은 대지를 그대로 살리고 집들은 한 단 위에 배치하도록 디자인했다”고 말했다.
그러고 보니 마당은 한 단 아래에 있고 집들은 마치 상 위에 올려진 오브제처럼 땅에서 살며시 떠 있다. 비가 내려 마당에 여기저기 물웅덩이가 생기면 물 위에 떠 있는 것처럼 집(오브제)들이 더 도드라져 보일 것 같다. 한겨울 눈이 쌓인 날에도 그런 느낌일 것이다. 합해 봐야 건평이 100평 정도 되는 다섯 개의 건물은 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면서도 지름 30m의 원형 보행로를 따라 둥글게 배치돼 있다. 그래서 콘크리트 집들이 작은 마을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는 것 같다.
곡물창고처럼 보이는 ‘긴 집’의 전경. 긴 집은 길게 난 천창이 집 전체를 가로지른다. 콘크리트 보가 천창을 가로지르고 화장실을 중심으로 침실과 거실 겸 부엌이 나뉜다.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무채색 외관… 내부는 아늑
인디뮤직 음반을 기획하던 일을 그만두고 강원도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으로 건축가를 물색하던 건축주 부부는 서 대표가 디자인한 충북 음성의 ‘디귿집’이 마음에 쏙 들었다. 논 한가운데 자리잡은 디귿집은 밖에선 단순한 형태로 보이지만 중정이 중심 역할을 하는 순환형 구조를 하고 있다. 아파트를 떠나온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가 함께,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집은 초록 벽돌과 박공 모양의 벽이 익숙한 듯 낯선 풍경을 만들고 있었다. 침엽수 산을 배경으로 하는 호지는 평범함과 비범함의 사이에서 익숙한 듯하면서도 생경하다. 독립된 숙소들의 모양은 생경하다가도 어디선가 본 듯하다. 촉촉하게 내리는 봄비 속에서 보니 현실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있는 풍경이다.
스테이 ‘호지’는 주변에 위화감을 주는 아주 생경한 디자인보다는 익숙한 풍경이 되도록, 그렇다고 시골집을 그대로 본뜬 것도 아닌 디자인으로 설계됐다.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서 대표는 “일반적으로 건축가들이 디자인한 스테이에 가 보면 대부분 통창을 둬 경치를 바라보게 하고 과한 실내장식으로 힘이 엄청나게 들어가 있는데 그런 것을 지양하면서 어떻게 공간 경험을 만들 것인가에 집중했다”며 “도시에서 쉬러 오는 사람들을 위한 숙박동은 ‘전원의 푸근한 공간’이 되도록 디자인했다”고 설명했다.
도시에서 경험할 수 없는 공간감을 주기 위해 무엇보다 천장을 높게 만들고 천창과 측창을 뒀다. 창은 크지 않게 그리고 의도적으로 낮게 뒀다. 개구부가 상대적으로 작아 내부가 어두운 편이지만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온종일 공간에서 다양한 풍경을 만들며 반사된다. 의자와 테이블 등 새롭게 디자인한 가구도 낮다. 천장의 높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다. 사과 궤짝을 뜯어 만든 듯한 비정형의 테이블이 대칭형의 구조를 한 공간 안에서 파격의 미를 풍긴다.
강원 강릉시 연곡면 신왕리에 있는 호지는 회색빛 창고건물, 비닐하우스, 정자 모양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들로 구성돼 있다. 시골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익숙한 풍경인 듯 이질감이 없는 모습이다. 위에서 내려다본 호지의 전경.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진효숙 작가 제공 ※사진 무단 재이용 금지.
각 숙박동은 저마다 특징이 있다. 먹고 자기 위한 최소한의 도구를 갖춘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체적은 오감을 충분히 자극할 만큼 풍요롭다. 4인 가족 혹은 두 커플이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된 팔각집에는 팔각형의 중정이 있다. 화장실을 사이에 두고 두 공간으로 나뉘지만 중정으로 난 창들이 공간을 느슨하게 연결하고 있다. 긴 집은 길게 난 천창이 집 전체를 가로지른다. 콘크리트 보가 천창을 가로지르고 화장실을 중심으로 침실과 거실 겸 부엌이 나뉜다. 둥근 집은 천장에서부터 매달린 주방 후드가 천창의 빛을 반사하며 내부를 환하게 만든다. 붉은빛의 대리석 벽이 부엌 공간과 침대 사이에 놓여 있는 아기자기한 공간에 오면 대화가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다. 커뮤니티 창고는 말 그대로 창고다. 시멘트벽돌로 쌓아 만든 공간은 아침 식사 장소로, 음악을 들으며 커피를 마시는 공간으로 쓰인다.
●이곳은 하루 종일 ‘호지’(好地)
“이곳은 산이 나지막해서 하루 종일 빛이 잘 들고 산이 끄트머리여서 맑은 공기가 순환이 잘되거든요. 아침에 해가 뜰 때 서쪽으로 그림자가 길게 드리우는 모습은 환상적입니다. 커뮤니티 창고에 앉아 길게 드리워진 초목의 그림자를 보면 현실과 기억들이 뒤범벅됩니다. 조명 시설을 특별히 하지 않아 밤에는 사방이 깜깜하고 별이 정말 잘 보입니다. 풀벌레 소리와 물소리만 들리지요.”
낮에는 어떨까. 나지막하게 설치한 펜스 너머로 계절 따라 다른 농작물이 자라는 자연스러운 풍경을 바라보면서 무념의 상태에 빠진다. 이곳은 하루 종일 호지(好地)다.
함혜리 건축 칼럼니스트
2024-04-2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