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히로히토 일왕 전쟁책임 물은 우크라 영상에 반발
“최고 맹방인 미국에서조차 전범 취급받는 현실 직시해야”
“잘못을 잘못이라고 냉정하게 인정하고 사과하는 자세“ 지적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3일(현지시간) 태평양전쟁 오키나와(沖繩) 전투 전몰자 추도식에서 꽃으로 장식된 제단의 국기 앞을 지나가고 있다.
ⓒ AFPBBNews=News1
ⓒ AFPBBNews=News1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비난하는 영상에 일왕의 얼굴을 사용한 데 대해 일본에서 맹렬한 반발이 일었던 것과 관련해 일본의 저명한 시사평론가가 일침을 날렸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난달 트위터에 러시아의 침략을 파시즘에 빗대 ‘러시즘’(러시아+파시즘)이라고 부르며, 끝까지 항쟁할 것을 다짐하는 1분 20초짜리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는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와 함께 일본이 일으킨 태평양 전쟁 때 일왕이었던 히로히토(1901~1989)의 얼굴이 등장했다.
그러자 일본에서는 “쇼와 덴노(히로히토 일왕)는 입헌군주제 아래 형식적 통수권자에 지나지 않아 전쟁 책임이 없는데도 히틀러, 무솔리니와 동일하게 다뤘다”며 강한 반발이 터져나왔다. 집권 자민당 내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당장 끊어야 한다는 강경론까지 나왔다.
“역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결국 사과한 우크라 정부결국 우크라이나 정부는 일본 정부의 요청을 수용해 히로히토 일왕의 사진을 영상에서 삭제하는 한편 주일 대사를 통해 “역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고 일본 측에 사과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공식 트위터에 올렸다 내린 영상 속 한 장면에 일본 제국의 쇼와 일왕(오른쪽), 나치 독일의 총통 히틀러(가운데), 이탈리아 왕국의 수상 무솔리니(왼쪽)이 나란히 보인다. 우크라이나 정부 트위터 캡처
시사평론가 고가 시게아키(66)는 아사히신문 계열 시사주간지 ‘슈칸(週刊)아사히’ 최신호(5월 20일자)에 기고한 칼럼 ‘잊혀지지 않는 과거가 있다’를 통해 이번 사건을 둘러싼 일본내 분위기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경제산업성 고위 간부 출신인 고가 평론가는 경제와 정치, 행정에 대한 해박한 식견을 바탕으로 일본 사회의 우경화를 경고하는 분석과 논평을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쇼와 덴노 전쟁책임 추궁=日정부·국민 비판’ 논리 성립 안돼”“나는 이번 사건 보도를 보며 많은 일본인들이 과거 일본의 전쟁 책임을 완전히 잊은 것 아닌가 하는 인상을 받았다. 언론도 하나같이 우크라이나의 일방적인 잘못이라는 어조로 보도했다.”
그는 “쇼와 덴노의 전쟁 책임을 묻는 것과 현재의 일본 정부 및 국민을 비판하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며 “이는 히틀러를 비판했다고 해서 독일인을 모욕했다고 말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제국주의 상징 야스쿠니 신사에 등장한 제국주의 일본군
15일 제국주의 상징인 일본 도쿄(東京)의 야스쿠니(靖國)신사에서 제국주의 일본군의 군복을 입은 사람들이 모여 있다. 야스쿠니신사에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해 246만6천여명이 합사된 제국주의 일본의 상징이다. 연합뉴스
“그러나 쇼와 덴노에 대해 태평양 전쟁 발발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인식이 여전히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남아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본인이 잊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다.”
그는 이런 상황은 세계 곳곳을 여행해 보면 잘 알 수 있다고 했다.
“일본의 최고 맹방인 미국에서조차 전범 취급받고 있는 현실 직시해야”“몇년 전 미국 보스턴 미술관을 방문했는데, 전쟁을 소재로 한 전시 코너가 마련돼 있었다. 히틀러, 무솔리니와 나란히 쇼와 덴노를 악인으로 묘사한 일러스트가 당연한 듯이 전시되어 있었다. 나는 뜻하지 않은 공격을 당한 듯한 느낌이었지만, 일본의 최고 우방이라는 나라에서조차 (히로히토 일왕의 전범 책임은)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로 취급받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는 “시간이 지나면 이 불명예스러운 기억이 사라질 것으로 생각하지만, 미술관 전시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에게 아직도 퍼져나가고 있는 것은 일본인들도 알고 있는 게 좋을 것”이라고 했다.
고가 시게아키. 페이스북
“과거의 잘못을 잘못이라고 냉정하게 인정하고 사과하는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과거의 교훈을 살려 평화의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을 진지하게 설명하는 태도.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평화주의 국가의 모습이 아닐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