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젝 “‘소프트 파시즘’ 막아 세울 강한 억지력 필요”

지젝 “‘소프트 파시즘’ 막아 세울 강한 억지력 필요”

도쿄 명희진 기자
입력 2024-10-27 12:49
수정 2024-10-27 1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슬로베니아 출신의 세계적인 현대사상가 슬라보예 지젝(75·사진)이 “소프트 파시즘”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지금 “평화주의를 외치는 것만으로는 평화를 지킬 수 없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와 팔레스타인을 둘러싼 두 개의 전쟁을 멈추기 위해 ‘단호한 주장’과 ‘군사력’ 같은 강한 억지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지젝은 27일 일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세계대전을 막기 위해 러시아를 단호히 막아야 할 때”라면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점령에 만족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서방은 폴란드, 체코 등 동부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에 점령되는 일을 막기 위해 모든 위험을 감수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했다.

지젝은 “평화는 자신의 입장을 단호히 주장하고 무언가 싸울 의지가 보여야만 확보될 수 있다”며 “그것을 포기하고 나약함을 보이면 상대방의 팽창주의에 길을 닦아 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럽이 통합을 심화함으로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야망을 분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 러시아 등 권위주의 국가가 부상하는 현 상황을 ‘소프트 파시즘’으로 명명했다. 지젝은 “그들은 내가 파시즘이라고 부르는 민족 통합이라는 전통적인 이데올로기로 근대화를 통제하려 하고 있다”며 “요즘 중국 지도자들은 공산주의보다 훨씬 더 자주 유고 전통을 거론하고 러시아는 보수적인 근본주의 종교가 됐다”고 진단했다.

또 지젝은 환경, 이민, 인공지능(AI) 등 인류가 마주한 장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민주주의 시스템이 한계에 달했다고 경고했다. 다만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 개입을 통해 딥페이크, 기후 변화 등 각종 문제에 적극적으로, 필사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지젝은 “무섭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20세기 전 세계에 퍼진 것처럼 보였던 자유민주주의가 끝나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면서도 “비관적인 현실 속에서도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필사적으로 시도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국제 협력과 단합된 유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