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소소한 풍경’이 그리는 죽음의 본원과 사랑의 불완전성이란?

소설 ‘소소한 풍경’이 그리는 죽음의 본원과 사랑의 불완전성이란?

입력 2014-05-30 00:00
수정 2014-05-30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영원한 청년작가 박범신, 41번째 장편 소설 ‘소소한 풍경’ 출간

박범신/소소한 풍경

1973년 ‘여름의 잔해’로 등단한 뒤, ‘소금’, ‘은교’, ‘그리운 내가 온다’, ‘촐라체’ 등 40여 권의 소설을 발표한 영원한 청년작가 박범신이 지난달 30일 41번째 장편 소설 ‘소소한 풍경’을 출간했다.



죽음의 본원과 사랑의 불완전성을 주제로 한 소소한 풍경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이들의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그린다.

소설가인 ‘나’와 어렸을 때 오빠와 부모를 차례로 잃은 제자 ‘ㄱ’, 형과 아버지를 잃은 떠돌이 ‘ㄴ’, 국경을 넘다 아버지를 잃은 탈북자 처녀 ‘ㄷ’ 등이 등장하는 이야기는 성별이나 나이, 계급 등을 초월한 인간 대 인간의 관계를 바라본다.

그리고 두 여자와 한 남자는 서로를 사랑한다. 이들의 관계는 소설의 주인공이자 저자의 분신인 ‘나’를 통해 그려진다. 사건의 시작은 집주인에게 억울하게 내쫓긴 세입자 ‘ㄴ’을 발견한 ‘ㄱ’이 자신의 집에 머무르게 하면서부터 시작된다. 함께 하며 서로에게 만족감을 얻은 그들은 집 뒤란에 우물을 파기 시작한다. 한창 우물을 파고 있을 때 그들 앞에 ‘ㄷ’이 나타난다. ‘ㄷ’과도 함께 생활하기로 결정한 세 남녀는 그들만의 방식으로 불완전한 사랑을 완전하게 받아들인다.

어찌 보면 ‘소소한 풍경’은 사랑이라는 말이 인간의 본질적 운명에 대해 매우 은유적으로 말하고 있는, 아름답고 신비한 소설의 함의를 너무 한정시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든다. 하지만 작가 박범신의 독특한 소설론과 인식론이 담겨 있음에는 분명하다.

박범신 작가는 ‘소소한 일상’에 대해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파르게 넘어온 그들이 오염되지 않은 상태의 인간으로서 느끼는 사랑, 존재, 신비 등 다양한 감정을 시적으로 접근했다”며 “이 이야기는 그러므로 ‘비밀’이다. 작가인 나는 물론이거니와, 나의 인물들이 최종적으로 그리워 한 지점도 그럴 것이다. 그들이 가졌을지 모르는 불멸에의 꿈도 그렇다. 감히 ‘비밀’의 봉인을 열고자 한 나에게 죄 있을진저”라고 밝혔다.

박범신 작가의 신작 ‘소소한 풍경’은 갈망 3부작과 자본주의 폭력성을 비판한 3부작에 이은 소설로, 전국 오프라인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만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