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약 50년… 한국 여성 복용률은 고작 2%

피임약 50년… 한국 여성 복용률은 고작 2%

입력 2010-06-07 00:00
수정 2010-06-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인류에게 피임약이 첫선을 보인지 올해로 50년이 됐다. 1919년, 당시 쉐링사는 토끼를 이용한 실험에서 호르몬을 조절하면 피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한 뒤 지금까지 피임약 성분으로 사용되는 인공호르몬 ‘에치닐 에스트라디올’을 합성한데 이어 1960년 마침내 첫 피임약 ‘에노비드’를, 1961년에는 ‘아나보라’를 출시, ‘인공 피임’의 시대를 열었다. 피임약은 여성의 역사를 바꿨다. 피임약이 등장하면서 비로소 여성 스스로 자신의 삶을 계획할 수 있게 됐다. 원치 않는 임신이 줄면서 낙태가 크게 줄었고, 계획임신이 가능해 여성의 사회진출에도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이후 피임약은 진화를 거듭했다. 가장 주목받은 변화는 피임약에 사용되는 호르몬을 천연호르몬과 유사하게 바꾸려는 노력이었다. 그 결과, 1990년대에는 합성 황체호르몬의 일종으로, 피임약 중 처음으로 체중 증가등의 부작용을 줄인 드로스피레논(바이엘 쉐링)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복용법도 크게 바뀌었다. 기존의 ‘21일 복용, 7일 휴약’ 방식 대신 24일간 호르몬제를 복용한 뒤 4일간 위약을 복용하는 ‘24-4용법’을 선보여 체내 호르몬의 변화를 줄인 것이 대표적이다. 이런 진화 끝에 정확하게 복용할 경우 99%의 성공률을 보이게 됐다.

피임약은 현재 세계적으로 1억명의 여성들이 복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 8000만명은 유럽과 미국 여성들이다. 피임약 복용률을 보면 독일·프랑스 등 유럽국가는 20∼40%로 높은 반면 한국은 2%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태국(30.9%),싱가포르(10%) 등에 비해서도 크게 낮다. 이에 대해 의료계에서는 정서적 특성상 피임약 대신 콘돔이나 불임시술, 불임장치 등을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06-07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