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실패한 민주화, 1987년 성공한 이유는

1979년 실패한 민주화, 1987년 성공한 이유는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5-29 03:11
수정 2024-05-29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학술총서 ‘제5공화국’ 발간

이미지 확대
“1979년에는 왜 민주화를 이루지 못했고, 1987년에는 왜 민주화를 성취할 수 있었을까.”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이에 대해 최근 발간한 ‘제5공화국’(역사공간)에서 “1979년에는 우리 사회가 아직 민주화를 수용할 만한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지 못했지만 제5공화국을 거치면서 겪게 된 각종 사건과 충격, 사회경제적 변화를 통해 1987년 민주화를 이루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제5공화국’은 5공화국 8년 동안 한국 사회가 겪은 변화와 현재 한국인의 삶에 남겨진 5공화국의 흔적을 살펴본 책이다. 군사정권과 억압 체제의 형성, 그 역사적 의미를 한국 정치사 관점에서 파악해 5공화국이라는 역사적 실체를 우리가 어떻게 마주하고 극복해 갔는지, 그 결과는 한국 사회에 어떻게 반영됐는지를 조명한다.

강 교수의 ‘제5공화국’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는 ‘20세기 한국학술총서’의 첫 작품이다. 20세기 한국학술총서는 근대화 이후 한국이 겪은 아픈 과거사와 어두운 면을 성찰해 21세기 대한민국이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겠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1901년부터 2000년까지 100년 동안 우리나라가 겪어 온 식민지 경험, 분단과 전쟁, 권위주의, 산업화 등의 주제를 2029년까지 총 50권의 책으로 발간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제5공화국’을 시작으로 ‘한국의 사상 통제’, ‘식민과 냉전의 해방 전후 한국문학-남북 협상파 문인의 통일 독립에의 열망과 좌절’, ‘분단의 현실, 담론의 정치, 냉전의 주조’, ‘일본 제국의 식민지 토지 조사와 동아시아’, ‘러일전쟁, 일제강점의 서막’ 등 현재까지 총 25개 과제가 선정돼 출간을 준비하고 있다.
2024-05-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