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소설은 아이들만 읽는 책? 성장교재? 아닙니다!

청소년소설은 아이들만 읽는 책? 성장교재? 아닙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9-19 11:30
수정 2023-09-19 1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무더위와 소나기가 갈마드는 여름철 서울의 한 대형 서점에서 어린이들과 학부모들이 동화책을 보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서울신문DB
무더위와 소나기가 갈마드는 여름철 서울의 한 대형 서점에서 어린이들과 학부모들이 동화책을 보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서울신문DB
“문학 바깥에서 청소년들의 목소리는 선명해졌지만 청소년 문학이 그 발화하는 존재들을 정확히 존중하며 문학의 언어로 만나고 있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문예 계간지 ‘창비어린이’ 가을호(82호)는 ‘청소년소설-새로운 목소리’라는 주제로 2000년대 들어서 빠르게 성장한 청소년 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보는 특집을 마련했다.

아동문학 평론가 오세란은 ‘청소년소설은 교재가 아니다’라는 글을 통해 어른들은 청소년 문학에서 재미가 아닌 교육을 찾으려 한다고 비판한다. 그는 “문학은 삶에 대해 무언가를 들려줄 뿐”이라며 “장르문학을 포함한 문학 서사는 교육 콘텐츠가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청소년소설에서 등장하는 청소년들은 침몰하는 배처럼 가라앉는 세상을 구하는 존재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청소년 인물을 타락한 세상에 맞서는 순수한 존재로 배치하는 것이 아동문학에서 나타나는 ‘동심 주의’와 이어진 것 아닐까 하는 질문을 던진다. 청소년 주인공들은 대체로 순수하고 윤리적이라 악과 대결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작가는 담론을 통해 독자를 설득하고 질문을 던지며 자신의 문제의식을 알리고자 하지만 자칫 교육적 의도와 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오세란은 말한다.
이미지 확대
창비어린이 2023년 가을호(82호)
창비어린이 2023년 가을호(82호)
아동 청소년 문학평론가 이하나도 ‘너도 그곳에선 다르게 읽는 법을 배우게 될 거야’라는 글에서 청소년 문학에서 작가가 전달하고 싶은 바가 너무 명확한 목표지향적 작품들을 만나게 된다고 지적한다. 이하나는 “독자를 신뢰하지 못하는 작가의 조급함은 문학이라기보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교재처럼 느껴진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상에서 청소년들에게 ‘아직 몰라서 그래’라는 단정적 가르침이 문학에서도 타성적으로 행해지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밝혔다. 작가들은 청소년 독자가 쉬운 이야기를 읽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사로잡는 이야기를 읽고 싶어 한다는 당연한 명제를 명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런가 하면 아이들이 청소년 문학을 만나는 대표적 창구인 학교 도서관의 현실도 살펴봤다. 중학교 사서 교사인 김담희는 ‘주문 많은 도서관’이라는 일종의 현장 보고서를 통해 “청소년소설은 평생 독서가가 되기 위한 좋은 징검다리”라고 강조하면서 “청소년 문학이라는 안전한 자리에서 아이들이 삶의 어두운 면을 감당해 내는 연습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또 “청소년 문학은 얼렁뚱땅 어른이 되어 버린 어른들에게도 바삐 지나온 마음들을 돌아볼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