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이 초연결 사회의 해법이라고?

‘당근’이 초연결 사회의 해법이라고?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8-21 11:00
수정 2023-08-21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제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초지능성과 초연결성은 코로나19 상황을 거치면서 더 강화되는 분위기다. 초연결 사회에서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제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초지능성과 초연결성은 코로나19 상황을 거치면서 더 강화되는 분위기다. 초연결 사회에서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2020년 이후 3년 동안 코로나19 확산은 이전과 비교해 많은 것을 바꿨다. 코로나 이전부터 시작된 사람-사물-공간이 연결되는 초연결성과 온오프라인 세계의 융합으로 기존보다 더 세밀한 단위의 지역성인 하이퍼로컬 사회로 빠르게 전환됐다.

문학 월간지 ‘문학사상’ 8월호(제52권 8호)는 기획특집 ‘초연결 사회, 인간과 공동체’라는 주제로 하이퍼로컬이 만드는 새로운 공동체의 모습과 초연결사회에서 개인과 공간의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했다.

김재영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초연결 사회의 흐름과 하이퍼로컬의 탄생, 당근마켓’이라는 글을 통해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초지능성과 초연결성이 초래한 파괴력은 기술과 산업 분야를 넘어 인류의 사고체계와 생활세계 자체를 송두리째 바꿀 수 있다”라고 말했다. 파괴적 기술 발전에도 인간의 관계 지향성과 소통 행위는 인류 생존을 지배하고 있는 변치 않는 상수다. 김 교수는 “코로나19와 기술 발달이라는 이질적인 변수가 골목길, 골목상권으로 대표되는 하이퍼로컬 현상을 가속했다”라면서 “국내에서는 하이퍼로컬의 선발 주자가 바로 ‘당근마켓’”이라고 말했다.

모든 자원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내부 식민지화 상황에서 당근마켓은 단순한 중고 거래 애플리케이션을 넘어 지역성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이 됐고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근접성을 바탕으로 한 지역민으로서 정체성 형성의 경로가 됐다고 김 교수는 평가했다.
이미지 확대
문학사상 2023년 8월호
문학사상 2023년 8월호
또 홍단비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은 ‘초연결 시대 공간의 의미와 문학 공간의 치유성’이란 글에서 초연결 시대의 공간과 대비되는 문학 공간의 치유 효과에 주목했다. 홍 연구원은 “초연결 시대의 공간은 고도화된 기술과 방식을 통해 인간을 통제하고 조정하기 때문에 현대인은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동시에 개인의 주체성을 점차 상실해간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소설가 박민규의 ‘갑을고시원 체류기’, ‘카스테라’, ‘아침의 문’ 세 작품의 분석을 통해 문학적 공간은 주체적 사유, 자발적이고 주체적 공간 생성을 통한 자기 변화를 가져와 초연결 시대가 미치는 독소를 해독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난희 동국대 트랜스미디어 세계문학연구소 연구원도 문학 작품 속에서 초연결성의 미래를 엿봤다. ‘프랑켄슈타인과 그녀’라는 소논문에서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과 영화 ‘그녀’(2013)를 분석해 기계와 함께하는 초연결 사회의 부정적 미래를 봤다. 그는 많은 사람이 초연결 사회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재는 이미 기술과 인간이 연결을 넘어 융합의 단계로 넘어갔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초연결 시대에는 인간이 기술을 형성하는 만큼 기술도 인간을 형성하고 있다”라면서 “문학작품이나 영화는 우리 미래를 예측하고 문제점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돕는 최상의 수단”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