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참외 모양 병’(왼쪽)과 ‘청자 상감 국화 모란무늬 참외 모양 병’.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외규장각 의궤, 한국서화, 도자, 불교미술 및 동남아시아 불교조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장품을 종합적으로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박물관 누리집에 6일 공개했다. ‘고려시대 상형청자 I’에 따르면 ‘청자 참외 모양 병’은 틀을 써서 형태를 잡은 후 흙을 몸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눌러 굴곡을 만들었고 ‘청자 상감 국화 모란무늬 참외 모양 병’은 형태를 잡고 몸체 부분은 바깥쪽을 선각해 참외 모양을 만들었다. 도자기 연구가 외관뿐만 아니라 내부구조까지 확장됨으로써 기존의 조사 방식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 준다.
지난해 박물관은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 보존과학 등 각 분야에서 활발한 소장품 조사연구를 진행해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예를 들어 역사학 분야에서는 ‘외규장각 의궤 연구’에서는 외규장각 의궤 귀환 후 지난 10년간의 한국사, 건축사, 미술사, 복식사, 음악사 등 각 분야를 총망라한 연구 성과를 집대성했다. 미술사 분야에서는 광학적 분석에서 작품의 보존처리 사례에 이르는 모든 내용에 국문과 영문을 병기해 국내외 연구자의 기초 연구자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소장품에 관한 연구는 국내 자료뿐만 아니라 박물관이 소장한 동남아시아 문화재까지 확장됐다.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와 수집 자료가 조사기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에 사진과 도면자료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도 보완해 성과를 공개했다.
박물관 측은 “박물관 자체 소장품의 체계적인 조사연구 결과를 온라인에 전면 공개하고, 자연과학적 분석 등 학제간 융합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분에 주력했다”면서 “앞으로도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 규명을 위한 학술 조사, 연구 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그 결과물을 적극적으로 공개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