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지 ‘철학과 현실’ 가치 분석
“답이 아닌 답을 찾는 과정 중요”
기업 철학, 경영 철학, 직업 철학……. ‘철학’은 신념이나 이상, 이데올로기 같은 가치관을 설명하는 수식어로 곳곳에 사용되고 있다. 서점의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코너에도 대중 철학서들이 앞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철학 과잉의 시대처럼 보이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극단적인 사회 불평등과 감각적 쾌락만을 좇는 쾌락주의와 물질만능주의로 철학 빈곤 시대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이 같은 상황에서 계간지 ‘철학과 현실’ 최근호는 ‘이 시대에 철학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주제로 특별 좌담과 3편의 원고를 싣고 한국 사회에서 철학의 존재 가치에 대해 분석했다.
박찬국 서울대 철학과 교수는 ‘이 시대에 철학 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오늘날 사람들은 행복을 감각적 쾌락에서 찾는 감각적 쾌락주의와 이런 감각적 쾌락을 마련해 주는 물질적인 부의 획득을 중요하게 보는 물질만능주의를 자명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있다”고 통렬하게 꼬집었다. 박 교수는 “현대 과학은 사람의 삶에 의미와 목적을 제공할 수 없고 쾌락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지 못하기 때문에 삶에 염증과 권태, 공허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면서 “그렇다고 현대인이 전통적 종교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기에는 너무 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철학이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 ‘만족할 수 있는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선형 박사는 SF영화 ‘매트릭스’와 미국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닐 포스트먼의 책 ‘죽도록 즐기기’를 인용하며 “일관성 없고 파편화된 정보들이 쉴 새 없이 도착하는 세계에서 대중들은 그것들의 진실에 무관심해지는 일이 더 많이 일어난다”고 경고하고 있다.
강 박사는 “사람들은 미디어에서도 가장 빠르고 명쾌한 답을 내려주는 사람들을 추앙한다”고 비판하며 “철학은 정답을 동어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을 합리적으로 의심하고 질문하는 법과 태도를 알려 준다”고 말했다. 생각 없음의 시대에 철학이 생각이라는 해독제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말이다.
편집인인 이진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명예교수도 권두언을 통해 “지금 철학의 쓸모는 바로 철학의 쓸모없음에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철학이 좋은 일자리나 물질적 풍요를 만들어 낼 수 없고 문제 해결에도 쓸모없지만 문제의 정체와 의미를 일깨워 해결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분명 쓸모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23-02-0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