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사표, 세간의 희망 되리라”…조계종 종정 성파스님 하안거 해제 법어

“인천의 사표, 세간의 희망 되리라”…조계종 종정 성파스님 하안거 해제 법어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4-08-14 10:44
수정 2024-08-14 1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인 성파 스님.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인 성파 스님.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삼하결제를 성만한 수행대중 모두가 보배 거울을 갖추었으니 행주좌와(行住坐臥·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는 일상의 움직임)가 모두 법답고 어묵동정(語默動靜·말하고, 침묵하고, 움직이거나 가만히 있는 것)이 모두 인천(人天·인간계와 천상)의 사표가 되며 세간의 희망이 되리라.”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인 성파 스님이 14일 하안거 해제를 앞두고 법어를 발표했다. 스님은 ‘보경호 맑은 물이 사바를 적시네!’라는 제목의 법어에서 “지난 여름 참으로 더웠으나 선방은 오히려 서늘했고 구룡지 백일홍은 더욱 붉게 피었다”며 “시절인연이 도래하여 보경호에 고인 물은 영축산을 가득 품고 영산의 향기를 세상에 전하게 되었다”고 폭염 속에서 용맹정진한 스님들을 격려했다.안거(安居)는 승려들이 겨울과 여름에 각각 석 달간 외출을 금하고 선원(禪院)에 머물며 참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올해 하안거는 5월 22일 시작됐고 이달 18일 종료된다. 조계종에 따르면 이번 안거 기간에 전국 93개 선원에서 1781명이 정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