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쭉한 사투리에 소박한 그림, 책장 넘기다 갑자기 코끝이 찡~

걸쭉한 사투리에 소박한 그림, 책장 넘기다 갑자기 코끝이 찡~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2-02 23:47
수정 2025-02-02 2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화 ‘소를 줍다’ 잔잔한 감동

이미지 확대
동화 ‘소를 줍다’
동화 ‘소를 줍다’


“아부지, 우리도 소 한 마리 사불어.”

“염병할, 소가 토깽이냐? 사고 잡다고 달랑 사게. 당장 저 도짓소라도 읎으믄 니하고 니 성, 핵교도 끝이여. 그란다고 니놈이 목에다가 멍에를 걸그냐?”

글을 읽고만 있는데도 걸쭉한 전라도 사투리가 귀에 착 감긴다. 소가 있는 농촌의 고즈넉한 풍경을 담은 그림은 이야기를 무심하게 받치고 있다. 책장을 넘기는 내내 미소를 짓다가 끝에 가서 코끝이 찡해지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소설가 전성태의 단편소설에 그림책 작가 한병호가 그림을 얹었다. 동화 ‘소를 줍다’(길벗어린이)는 어른의 눈으로 봐도 읽는 맛이 있는 도톰한 그림책이다. 이미 여러 교과서에도 수록된 작품이지만 거기에 우리 농촌의 소박함을 아름답게 담은 그림이 더해지니 새롭게 읽고 싶은 마음이 무장무장 일어난다.

“나가 소를 줏었당께. … 옥강이서 줏었당께요. 다 죽어 가는 걸 나가 생똥을 싼시롬 건져내 부렀어요. 인자 요것은 우리 것이에요.”

‘시양치’(송아지를 뜻하는 전남 방언) 한 마리 기르고 싶었던 동맹이는 어느 날 물살이 불어난 강물에서 허우적거리는 소 한 마리를 발견한다. 소를 구해서 집으로 끌고 온 동맹이는 ‘소를 주워 왔으니 이제 우리가 키우자’고 생떼를 쓴다. 소는 어쩌다 물에 빠지게 됐을까. 동맹이는 이 소를 무사히 키울 수 있을까.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서영인은 “소를 주운 대가로 보상이나 받아 보려던 속셈이었던 아이는 소가 자라는 과정을 함께하며 점점 더 소를 아끼고 사랑하게 된다”며 “이것은 소를 주운 아이의 마음이 자라는 과정”이라고 했다. 동맹이 아버지는 흥정에는 재주가 없고 농사도 대충 짓지 않아 또박또박 정성을 다하느라 손이 무척 느리다. 그 아버지의 호된 꾸지람에 동맹이는 한 뼘 더 자라난다. 동맹이뿐일까. 아직 아버지의 호통을 들어야 할 어른들도 여럿일 터다.“네이…. 아부지가 뭐라고 하디? 입구녕이 너무 허황되게 넘의 밥그럭을 넘보는 고것을 뭐라고 하디?”
2025-02-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