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기본기 다지기’
연말연시가 되면 각종 모임과 결산 등으로 글을 쓰고 말할 일도 많아진다. 흩어진 생각을 명확한 자기만의 언어로 전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책들이 잇따라 출간돼 눈길을 끈다.
‘우리말 기본기 다지기’(교유서가)는 우리말을 바르게 표현하기 위한 합리적 규칙과 규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도리어’의 준말은 ‘되려’가 아니라 ‘되레’다. ‘되려’는 방언으로 ‘되레’와 함께 ‘도리어’의 뜻으로 자주 쓰인다. 그런데 ‘오히려’의 준말은 ‘외레’가 아니라 ‘외려’다. ‘외레’는 일상에서 흔히 쓰이지만 방언이다. 이처럼 발음이 같거나 비슷해서 헷갈리는 말, 의미가 전혀 다름에도 혼용되는 말, 비슷한 듯하지만 구별해서 써야 하는 말, 옳은 말과 그른 말, 잘 띄고 잘 붙여야 하는 말, 품사가 다른 말, 다른 말에 붙는 말과 활용하는 말 등으로 나눠 설명해 준다. 책을 읽다 보면 평소 별다른 의심 없이 써 왔던 단어들이 ‘틀린 말’이거나 아예 없는 말이라는 사실에 놀랄 수도 있다. 우리 언어 생활 속에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이 이렇게 많다는 사실 또한 새삼 깨닫게 된다.
‘좋은 글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한국 독자들에게 인기인 독일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쓴 ‘좋은 글은 어떻게 탄생하는가’(굿모닝미디어)는 글쓰기에 진심인 사람에게 훨씬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글의 소재를 이 책 저 책에서 가져다 쓰지 않고 오직 스스로 생각해 자신의 머릿속에서 글의 소재를 끌어내는 법, 지식을 원하는 대로 능숙하게 쓰기 위한 지식의 정리 등 글쓰기의 방향을 제시한다.
“독서로만 얻은 남의 생각은 남이 먹다 남긴 음식 찌꺼기거나 남이 입다 버린 옷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혼자 생각할 시간을 많이 갖고, 그 생각을 깊고 넓게 확장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는 200년 전 철학자의 독설 어린 조언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단어가 품은 세계’
‘단어가 품은 세계’(빛의서가)는 글쓰기 그 자체를 이야기하고 있지 않지만 말과 글의 품격을 높일 수 있는 단어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저자인 황선엽 서울대 국어국문과 교수는 단어가 언어의 가장 기본적 단위라는 점을 강조한다. 문해력 부족도 단어를 다양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그 쓰임대로 활용하지 못하면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지적한다. 단어가 품고 있는 역사성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면 말의 맥락을 이해하고 상상하는 힘을 키울 수 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 책들은 공통적으로 “평범한 글과 말은 한껏 멋 부리는 표현과 상투어를 남발하게 해 생각의 부족을 드러나게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2024-11-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